[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워킹맘 이정미(43·가명)씨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퍼진 중국의 배추 절임 영상을 본 후 식당을 찾을 때마다 원산지를 꼭 확인한다. 주말에는 보쌈을 배달시켰다가 취소했다. 중국산 배추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확인해서다. 이씨는 "중국에서 수입된 식재료가 들어간 음식은 사 먹지 않고 있다"며 "안전, 위생관리 과정을 전혀 모르는데 불안해서 못 먹겠다"고 말했다.
◇영상 보고 기겁= 15일 중국산 배추 절임 영상의 여파가 일파만파되고 있다. 포클레인으로 배추를 퍼 나르는 장면은 애교다. 흙탕물 투성이인 컨테이너에서 배추를 절이는 것은 물론 마치 헤엄치듯 오가는 인부의 모습이 잊히지 않는다는 이가 많다. 중국 측에서 "수입용 김치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지만 정부가 중국산 음식물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서울 영등포에서 백반집을 운영하는 김철수(52·가명)씨는 "가격 때문에 중국산 김치를 쓰고 있는데 고객들이 원산지 표시판을 확인하고 나가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로 매출이 절반으로 줄었는데 지금은 점심시간에 5팀도 못 받고 있다"고 했다.
◇지난해 30만t 수입, 유통=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1억5243만달러로 전년(1억3091만달러)보다 16.4% 증가했다. 역대 최대치다. 농수산물 가격이 급등했고 인건비 상승 등으로 영세 식당들이 어려워지자 김치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
한국으로 들어오는 김치의 99.0% 이상은 중국산이다. 지난해 전체 김치 수입액 가운데 1억5242만달러가 중국에서 들여왔다. 국내 김치 연간 소비량은 180만t으로 추산되는데 이 가운데 중국산 김치가 30만t씩 소비된다.
대다수 영세 식당은 중국 김치에 의존한다. 김치는 직접 담그지만, 고춧가루와 절인 배추 등을 중국에서 수입해 사용하는 식당까지 합치면 전체 식당의 90% 이상이 중국산 재료를 사용한 김치를 내놓고 있다.
◇오픈마켓서 1만원에 10㎏= 중국산 김치 가격은 10kg에 1만원 이하로 국산 김치의 3분의 1 수준도 안 된다. 가격이 워낙 저렴하다 보니 일반 가정에도 유통되고 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비롯한 주요 오픈 마켓에서 판매되는 중국산 김치는 최근 배추 절임 동영상 파문 이후 환불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중소 식품업체들이 판매 중인 김치는 10㎏에 2만~3만원 사이에 판매된다. 배추와 무, 양파 등 대부분의 원재료는 국산을 사용하지만 고춧가루와 천일염 등은 중국산을 사용한다. 대상 종갓집, CJ제일제당 비비고, 풀무원 김치 등 국내 업체 제품들은 100% 국산 원재료로 생산된다. 가격은 4만원대에 달해 중국산 김치 대비 4배에 달한다.
◇"안전관리 강화해야"= 중국산 김치의 안전성 문제가 터진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5년에는 중국에서 수입한 김치에서 납이 검출된 데 이어 기생충 알까지 나와 ‘김치 포비아(공포증)’가 확산된 바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까지 수입김치 제조업소 112개소 중 위생관리 상태가 불량한 업소 등 36개소의 수입 중단 등을 조치했다. 약 30% 이상의 수입김치 생산처가 불량 김치를 생산해온 것이다. 매년 이 같은 상황이 되풀이되자 식약처는 수출국 현지 생산부터 국내 유통까지 김치 안전관리를 강화, 2024년부터 식품안전 관리인증 기준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김치 종주국 논란도 일어나는 상황에서 불량 김치 수입은 늘고 있다"며 "한국 농가 경쟁력을 높이고, 중견 김치업체들이 중국 수입김치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정부의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