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자 100명 중 23명 '중독'…청소년 위험↑

과기정통부·지능정보사회진흥원 조사

스마트폰 사용자 100명 중 23명 '중독'…청소년 위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차민영 기자] 작년 국민 100명 중 23명 이상이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에 속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청소년층에서 증가율이 가팔라 저연령대에 맞춘 예방 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관측된다. 같은 기간 저소득층, 농민, 장애인 등 소외계층의 디지털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디지털 정보격차는 줄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2020년도 '디지털정보격차' 및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1만 가구를 대상으로 1대1 면접조사로 진행됐다.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저소득층·장애인·농어민·고령층 등 취약계층 1만5000명을 대상으로 1대1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스마트폰 과의존위험 전년比 3.3%p↑
스마트폰 사용자 100명 중 23명 '중독'…청소년 위험↑ 원본보기 아이콘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위험군(고위험군 및 잠재적위험군)의 비율은 23.3%로 전년의 20.0% 대비 3.3%포인트 증가했다. 유아동(만3~9세)의 과의존위험군 비율은 4.4%포인트 증가한 27.3%로 나타났고, 청소년(만10~19세)은 5.6%포인트 늘어난 35.8%, 성인(만20~59세)은 3.4%포인트 늘어난 22.2%, 60대는1.9%포인트 늘어난 16.8%로 조사됐다.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가 심각하다 느끼는 비중도 늘었다. 조사 대상자의 81.9%가 '다소 또는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해 전년 대비 3.2%포인트 상승했다. 과의존 문제 해결의 주체는 개인(61.0%), 기업(21.8%), 정부(17.2%) 순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이용자 개인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디지털 취약층 정보화 전년比 2.8%p↑
스마트폰 사용자 100명 중 23명 '중독'…청소년 위험↑ 원본보기 아이콘

디지털 정보격차는 완화되는 추세로 긍정적이다. 일반국민 대비 디지털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은 72.7%로 전년의 69.9% 대비 2.8%포인트 개선됐다. 디지털 접근수준은 93.7%로 전년 대비 2.0%포인트 상승했고, 역량수준은 60.3%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활용수준은 전년 대비 6.0%포인트 늘었다.


계층별로도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저소득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95.1%로 전년대비 7.3%포인트 상승했고, 장애인은 6.1%포인트 늘어난 81.3%, 농어민은 6.7%포인트 늘어난 77.3%, 고령층은 4.3%포인트 늘어난 68.6%로 집계됐다.


디지털배움터 운영기간 늘리고…과의존 교육도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사회안전망 강화(한국판 뉴딜)'를 위해 추진 중인 '디지털배움터' 사업 운영 기간을 올해 9개월로 전년 대비 4개월 늘린다. 기초·생활교육 비중도 70% 이상 편성해 정보격차를 완화한다.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책도 마련한다. 전국 17개 시·도의 '스마트쉼센터'에서 교육·상담을 제공한다. 저연령대(유아동·청소년) 대상의 맞춤형 예방 콘텐츠 예산도 작년의 10배인 4억원을 배정해 개발·보급한다. 디지털배움터와 연계한 찾아가는 과의존 교육·상담도 실시한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