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유병돈 기자, 이정윤 기자] 돈만 받고 물건을 보내지 않거나 벽돌을 배송하는 식의 중고거래 사기 수법은 더 이상 놀랄 일이 아니다. 중고거래시장이 팽창하면서 소비자들은 더 다양하고 지능적인 사기 행각에 노출돼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안전거래를 사칭한 수법이다.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서 중개를 하는 매매 보호 서비스 '에스크로'를 도용하는 것이다. 판매자는 안전거래인 척 게시물을 올리거나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가짜 안전거래 사이트 주소를 보낸다. 구매자가 해당 주소를 클릭하면 네이버페이를 비롯한 에스크로 서비스 화면이 그대로 뜨기 때문에 속기 쉽다.
실제로 한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텐트와 난로 등을 구입하려던 A씨는 채팅과 카카오톡을 통해 판매자와 연락이 닿았다. 네이버페이로 안전거래를 하자는 말에 판매자가 보내준 링크에 접속한 A씨는 아무 의심 없이 결제를 진행했다. 60만원을 입금한 뒤 판매자에게 연락을 했지만, 판매자는 수수료 입금이 덜 됐다며 추가 입금을 요구했다. 수수료를 입금한 뒤에도 판매자는 네이버페이에서 환불에 실패했다는 문구가 있는 화면을 캡쳐해서 보내며 "네이버 정책이 바뀌어 200만원부터 환불이 가능해 추가로 140만원을 입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제야 A씨는 사기임을 깨닫고 경찰에 신고했다.
이제는 구매자뿐 아니라 판매자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 판매자와 구매자를 엮는 '3자 사기'다. 사기꾼은 판매글을 올린 사람에게 물건을 사려는 척 연락해 물품 사진과 계좌번호를 받고, 구매를 원하는 또 다른 이에게는 판매자인 척하며 사진과 함께 받은 계좌번호를 건네 돈을 입금하게 한다. 돈은 제3자가 지불하게 하고 사기꾼이 중간에서 물품을 가로채는 것이다. 혹은 환불을 요구해 자신의 계좌로 돈을 입금하게 하는 지능적 수법도 활용한다.
상대적으로 법적 관리가 소홀한 개인 간 중고거래에서 사기 행각을 근절할 방법은 '집단 정보 공유'가 효율적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의심되는 계좌번호와 연락처를 거래시장에서 활발하게 공유하는 방식이다. 사기 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더치트의 김화랑 대표는 "사기에 동원된 연락처나 계좌번호는 평균 2~3회 정도 반복 사용된다"고 전했다. 중고거래뿐 아니라 각종 금융사기에 사용된 정보의 재사용을 막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면 사기 범죄 예방에 더 도움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