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재생에너지 접속지연 해결책 찾았다(종합)

특별대책 전담조직 신설
수요 예상지에 미리 송전망 설치
선접속·후제어 등 제도 개선
"내년까지 물량 3.2GW 해소"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소규모 태양광사업자들이 태양광 설비 계통 접속 지연 때문에 전기를 만들고도 한국전력 에 제대로 보내지 못하는 상황이 해소될 전망이다. 재생에너지 설비가 급증하면서 전력 계통 접속(전력망 연결) 지연에 대한 불만이 커지는 상황에서 한전은 선제적인 대책을 제시했다.


3일 한전에 따르면 김성암 전력그리드 부사장을 팀장으로 하는 '재생에너지 특별대책 전담 조직'을 2일 신설했다. 이를 통해 내년까지 현재 접속 대기 중인 물량 4.2GW 중 3.2GW를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한전이 부사장 주관 특별 전담 조직을 만든 것은 갈수록 느는 재생에너지 수요를 감당할 탄탄한 전력 계통 체계를 만들어야 안정적으로 전력을 수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김종갑 사장이 매달 진행 상황을 직접 점검할 방침이다.


한전에 따르면 2016년 10월 1㎿ 이하 재생에너지 접속 보장 정책을 시행한 뒤 단기간에 14.4GW가 특정 지역에 몰렸다. 4.2GW의 접속 지연이 발생한 이유다.


한전은 내년까지 4.2GW 중 3.2GW의 접속 지연을 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GW는 변전소 건설 기간 단축(6년→3년), 배전선로 접속 허용 용량 상향(10㎿→12㎿) 등을 통해 해결할 계획이다.

우선 한전은 재생에너지 접속 신청이 예상되는 지역에 미리 송전망을 세우고 망 정보 공개 확대, 접속 용량 증대를 위한 제도 개선 등을 할 계획이다.


한전은 재생에너지 특별대책 전담 조직을 통해 계통 연계 방안 개선, 송배전 설비 건설 기간 단축, 관련 제도 및 조직을 정비한다. 김 부사장은 태양광 및 풍력협회 등 재생에너지 유관 기관과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만나 현장의 애로사항을 들을 예정이다.


아울러 한전은 앞으로 접속 신청이 예상되는 지역에 송배전 설비를 미리 건설할 방침이다. 공기 단축이 가능한 분산형 전력설비(소규모·소용량)를 신·재생에너지발전소 근처에 지어 적기 접속을 실현할 계획이다.


이미 설치된 설비의 재생에너지 수용률을 높이기 위해 선접속ㆍ후제어, 계획기준용량 적용 등의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계획기준용량은 100% 출력이 쉽지 않은 재생에너지의 특성을 고려한 대책이다.


예를 들어 1㎿를 신청하면 기존엔 1㎿ 용량 모두 감안해 송전망 용량 검토를 했지만, 앞으로 설비용량 대비 70%인 0.7㎿만 검토하는 식으로 바꾸는 것이다.


아울러 발전사업자들이 원하는 수준까지 망 정보 공개를 확대한다. 발전사업자들이 지역별 설비 여유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전 홈페이지에 '여유정보 공개시스템'을 구축했다.


내년 7월부터는 미래 전력망 투자계획을 반영한 여유 정보, 접속 가능 시기 등 가능한 모든 정보를 추가 공개할 예정이다.


한전 관계자는 "한전은 앞으로도 재생에너지 증가 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특별대책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신·재생에너지발전 확대를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