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효과가 갈수록 저조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취업·산학맞춤반 프로그램에 참여해 산학협약을 맺고 맞춤 교육을 수료한 취업대상자 가운데 협약기업으로 취업한 학생의 취업률은 2016년 95.6%, 2017년 82.8%, 2018년 76.3%, 2019년 68.8%로 감소했다.
특성화고 인력양성 사업은 특성화고생을 대상으로 산업 분야와 연계한 맞춤형 직업 교육을 통해 중소기업으로 취업을 연계하고 중소기업의 현장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이다. 사업 방식은 특성화고에서 중소기업과 산학협약을 맺고, 중소기업 현장에서 원하는 맞춤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졸업생을 협약기업으로 취업 연계한다.
중기부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보조금으로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1666억3200만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연도별로는 2015년 약 264억원, 2016년 287억원, 2019년 312억원으로 상승 추세다. 보조금과 별도로 전담기관 운영비로 같은 기간 82억4200만원을 집행했다.
현재 전국 특성화고 460곳 가운데 215곳(46.7%)이 중소기업 특성화고로 지정돼 있다.
한편, 전국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규모 중소기업의 전국 시도별 인력 미충원율을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전국 평균은 8.3%로 조사됐다. 대전이 14.1%로 가장 높았다. 세종 11.4%, 경남 11% 순으로 인력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정훈 의원은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은 현장 맞춤형 인재를 적극 양성함으로써 구직자와 기업의 미스매칭을 적극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청년 취업난과 기업 구인난을 동시에 완화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과제이나 취업률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