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전 총리 "코로나19 감염 노인들 자연사하게 둬야"

영국 싱크탱크' 폴리시 익스체인지' 연설서 이같이 밝혀

▲토니 애벗 호주 전 총리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토니 애벗 호주 전 총리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토니 애벗 호주 전 총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감염된 고령환자들은 자연사하도록 둬야한다"고 말해 논란이 되고있다.


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애벗 전 총리는 영국 런던의 싱크탱크 '폴리시 익스체인지' 초청연설에서 코로나19 봉쇄조치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호주 정책을 '보건 독재'라고 비난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애벗 전 총리는 "정부가 노인 1명의 수명을 1년 더 늘리는데 무려 20만 호주달러(약 1억7000만원)이 든다"면서 "통상 정부가 주요 치료제에 지불하는 금액보다 훨씬 더 많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우리가 공존해야 할 죽음의 수준에 대해 불편한 질문을 던지는 보건 경제학자들처럼 생각하는 정치인들이 많지않다"며 "코로나19 대응 조치가 균형잡힌 것인지 질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호주 빅토리아주의 통행금지령을 예로 들며 주정부가 550만 멜버른 주민을 '가택연금' 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애벗 전 총리는 호주 정부의 대응 방침이 코로나19가 의료 체계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쪽에서 어떤 비용과 희생을 치르더라도 모든 생명을 살리는 방향으로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애벗 전 총리는 또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는 경제 상황뿐만 아니라 대유행으로 호주 젊은이들이 무기력증에 빠지는 점도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청년들 사이에 스스로 일자리를 구하기보다 정부의 무료 지원을 받겠다는 식의 사고방식이 팽배하다고 말했다.


애벗 전 총리는 "전체 노동인구의 40%에 정부 지원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정부는 "2차 세계대전 이래 전례 없는 적자가 쌓이고 있고, 바이러스 자체보다 그로 인한 대응에서 파생되는 경제 위기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애벗 전 총리는 최근 불거진 영국 무역특보 임명 가능성에 대해 "아직 공식적이지 않다"며 언급을 피하면서 "연말까지 영국과 호주가 무역협정에 합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가디언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애벗 전 총리의 이날 코로나19 관련 발언 등으로 그를 후보에 올린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의 정치적 부담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