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취약일자리 35%…3명중 1명, 정상경제활동 불가"

한은 'BOK이슈노트 -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 측정 및 평가'

"코로나19 취약일자리 35%…3명중 1명, 정상경제활동 불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강력한 봉쇄조치가 시행되면 국내 취업자 3명 중 1명은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며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을 위험에 노출됐는데, 취약한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중이 상당하다는 뜻이다.


18일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 이상아 조사역 등이 발표한 'BOK이슈노트 -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 측정 및 평가'에 따르면 단기적으로 실업 위험에 크게 노출되는 비필수·비재택근무 일자리 비중은 35%로 추정됐다. 정부가 봉쇄조치를 내릴 경우 작업환경이 제약돼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일자리에 종사하는 사람이 3명 중 1명 이상이라는 얘기다.

오 과장은 감염병으로 인한 개별 일자리의 고용취약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수직 여부 ▲재택근무 가능 여부 ▲대면접촉도 등 3가지 요소를 이용했다. 비필수 일자리 종사자는 42%,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일자리 종사자는 74%, 대면접촉도가 높은 일자리 종사자는 55%에 해당했다. 이중 재택근무가 불가능하면서 필수적이지 않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사람이 35%라는 설명이다.


3가지 요소 중 재택근무가 어렵고 대면접촉도가 높은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의 절반에 가까운 46%에 달했다. 오 과장은 "이런 일자리의 경우 장기적으로 고용회복에 상당 기간 시간이 소요된다는 특징이 있다"며 "장기적으로 보면 다른 일자리로 재편되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3가지 취약요소에 모두 해당하는 일자리 비중은 전체 일자리 중 23%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그렇다면 이처럼 취약한 일자리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조사 결과 저소득, 저학력, 청년층, 여성, 임시일용·자영업자, 고용보험 미가입자 등 취약 계층에서 상대적으로 고용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오 과장은 "특히 고졸이하 저학력자가 비필수직,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 에 종사할 가능성이 대졸이상 고학력자에 비해 7~24%포인트 높게 추정됐다"며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재조정이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산업별·직업별 고용취약성을 이용해 코로나19의 고용영향을 평가한 결과,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이후 취업자 수 감소의 대부분이 취약 일자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3~6월 중 취업자수 감소 중 비필수,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가 기여한 정도(기여율)는 각각 106%, 77%, 107% 수준이었다.


오 과장은 "비필수 일자리의 취업자수 감소 기여율이 높다는 것은 국내에서 봉쇄조치가 시행되지 않았지만, 경제주체들이 자발적으로 봉쇄조치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향후 고용회복 과정에서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의 고용부진이 이어지면서 산업별·직업별 고용재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