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銀, 코로나 리스크 부담에 전세대출 중단…타 은행 확산되나

신한, 15일부터 아파트外 중단…빌라·다가구 등 대출 못받아
코로나 정상화때 해제 검토…올 들어 전세자금대출 급증
대출 중단 은행권 확산땐 금리 높은 2금융권 찾아야

신한銀, 코로나 리스크 부담에 전세대출 중단…타 은행 확산되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신한은행이 아파트를 제외한 주요 전세자금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한다. 전세자금대출의 증가세가 가팔라지면서 속도 조절을 통해 한정된 재원을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지원 대출에 집중하기 위함이라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다른 시중은행들도 전세자금대출 등 여타 대출상품에 대한 일시 중단에 나설 지 관심이 집중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오는 15일부터 아파트를 제외한 신축 주택의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주택금융공사와 서울보증보험 보증상품 가운데 다세대 빌라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 등은 신한은행에서 전세자금 대출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의 경우 이미 지난달 초 한도율 조정을 통해 조치했고, 전세대출은 오는 15일 기준으로 일부 상품의 목적물 제한을 통해 조치할 예정"이라면서 "코로나 관련 상황이 정상화 된다면 해당 조치 해제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 전체적으로 가계대출이 가파르게 늘고 있는 상황으로 특히 전세대출, 신용대출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한정된 재원을 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 소상공인 지원 등에 우선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가계대출 속도조절을 해야하는 상황이라는 것이 신한은행 측의 설명이다.


올 들어 신한은행을 비롯해 시중은행들의 전세자금대출은 가파르게 불어났다. 신한ㆍKB국민ㆍ하나ㆍ우리ㆍ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올 1월 말 전세자금대출 잔액 합계는 82조7533억원으로 전월 말에 비해 1조4475억원 늘었다. 이후 전세자금대출은 2월 한 달 동안 2조6000억원 넘게 급증하더니 3월과 4월에도 2조원 가량의 증가폭을 보였다. 특히 이 가운데 신한은행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1월 한 달 4000억원 정도였던 전세자금대출 증가폭은 이후 급격히 늘더니 4월에는 1월의 두 배인 8000억원을 넘어섰다. 신한은행의 전세대출 잔액 규모는 지난 2월 5대 은행 중 처음으로 2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각에서는 신한은행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연이어 조건을 강화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몇 년새 무분별한 갭투자로 인해 세입자들이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금융권에서도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등 손실 관리에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여파로 대출 부실에 대한 경고등이 켜지면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신한은행이 선제적 조치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아파트 대비 담보 리스크가 높은 다세대 빌라 등에 대해서만 제한을 둔 점도 이 같은 해석을 뒷받침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버팀목 전세대출, 신혼부부 전세대출 등 기금대출은 계속 이용할 수 있다"면서 "전체 전세자금대출에서 이번에 일시적으로 신규 중단되는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0% 수준, 이 가운데 아파트와 비아파트 비중은 거의 반반으로 실제 신규 중단되는 대출의 비중은 30%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신한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중단이 나머지 은행으로 확산될 것인지에 주목하고 있다. 여타 은행들도 전세자금대출은 물론,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다른 시중은행들은 현재까지 전세자금대출 중단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만약 코로나19 대출 관련 재원 소진으로 여타 대출의 속도 조절에 나서게 된다면 자칫 '전세 난민'이 양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다른 은행까지 비아파트 전세자금대출 중단에 나설 경우 수요자들은 어쩔 수 없이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을 찾아야 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 여파로 전세 수요가 급증하면서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규모가 최근 2조원씩 급증하고 있다"면서 "신한은행의 이번 조치는 코로나 지원 대출이 늘고 있는 가운데 전세자금대출의 가파른 상승폭을 억누르기 위한 조치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