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일자리 늘고 근로조건 개선…취약계층 고용도 47%↑

기재부, 제4차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

[세종=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최근 협동조합 수 증가에 따라 일자리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규직 비율과 고용보험 가입률 등 근로조건 개선과 함께 취약계층 고용 규모도 증가세를 기록했다.


31일 기획재정부는 제18차 협동조합정책심의위원회를 서면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신고·인가된 협동조합 수는 1만4526개로, 2016년(1만615개) 대비 36.8% 증가했다.


운영·경영 성과도 개선추세를 보였다. 평균 조합원 수는 61.6명에서 67.0명으로, 출자금은 4700만원에서 5700만원으로, 매출액은 2억7000만원에서 3억7000만원으로 늘었다.


협동조합의 총 피고용자(임금 근로자+유급형 임원) 수는 2018년 3만1335명으로 2016년(2만409명) 대비 53.5% 증가했다. 정규직 비율(66.0→70.8%)과 고용보험 가입률(78.8→82.9%) 등 근로조건이 개선됐다. 특히 장애인과 경력단절 여성, 고령자 등 취약계층 고용 규모가 46.7% 증가(7662→1만1243명)하는 등 높은 취약계층 고용 효과를 보였다.

기재부 관계자는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이후 7년이 경과하면서 협동조합의 성장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라며 "다만 업력이 길고, 조합원 수가 많은 협동조합 중심으로 성장한 반면 신생 협동조합 등 상당수의 협동조합은 여전히 영세한 수준으로, 협동조합의 규모화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날 기재부는 제3차 협동조합 기본계획(2020~2022년)도 의결했다. 3차 기본계획의 목표는 협동조합이 '스타트업' 단계에서 '스케일업' 단계로 안정적으로 전환·정착할 수 있도록 성장기반을 확립함과 동시에 협동조합 간 연대 및 지역에 기반한 성장을 통해 협동조합 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우선 정부는 돌봄 협동조합과 프리랜서 협동조합, 노동자협동조합 전환 모델 등 협동조합 특화모델을 육성하는 동시에 사업연합·합병과 성공모델의 복제·확산 등으로 규모화 할 수 있도록 성장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교육·컨설팅 등 협동조합 지원사업 체계를 연대조직 중심으로 개편하고, 이종 협동조합 공동사업을 발굴·확산하고 공제사업 활성화 등을 통해 연대를 촉진할 계획이다. 일반 기업과 동등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우선출자제도 및 사회적금융 활성화와 내부조달 강화 등 금융조달 애로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정부는 이번 3차 기본계획에서 중점을 둔 협동조합 간 연대·협력 및 지역사회 자생기반 강화를 위한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많은 협동조합이 정부와 시장의 양극단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고 공동체를 복원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