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정세균 국무총리는 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모든 환자를 입원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지금 방식으로는 중증이나 위험군에 속하는 분들이 입원을 기다리다가 사망하는 비극을 막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한정된 의료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어제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의 세계적 위험 수준을 '매우 높음'으로 올리고, 각국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다"며 "코로나19는 이제 개별 국가 문제가 아니라 인류 전체가 맞닥뜨린 중대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도 어제 하루 800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했다"며 "대구에서만 650여명의 환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화요일 대구로 본부를 옮기고, 중대본부장인 제가 직접 현장을 지휘하면서 노력해 왔습니다만, 아직 1000명이 넘는 확진자들이 집에서 입원을 기다리고 계신다"며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확산 추세가 너무 빨라 병실을 무한정 늘릴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정 총리는 "그간 축적된 임상결과를 바탕으로 의료계에서 정책 전환을 건의해 오셨다"며 "대한병원협회와 의사협회가 증상이 가벼운 환자는 의료진 보호 하에 공공시설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해 주셨다"고 소개했다.
정 총리는 또 "확진자 중 약 80%는 의학적 처치가 필요 없는 경증이지만, 기저질환을 가진 분들이나 노령의 어르신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며 "한정된 의료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피력했다.
아울러 "질병관리본부와 관계부처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방안을 마련했다"며 "여러 의견을 듣고 충분히 논의해서 오늘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 총리는 이날 중대본 회의를 주재한 후 다시 대구로 향할 예정이다. 정 총리는 지난달 25일부터 대구에 상주하며 중대본부장으로서 코로나19 범정부 대응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