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유발 부위 찾았다

대뇌 내 후두정피질의 위치

대뇌 내 후두정피질의 위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대뇌의 후두정피질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일으키는데 필수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후두정피질의 활동을 제어해 PTSD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뇌연구원은 구자욱·이석원 박사 연구팀이 새로운 환경에서의 공포기억 재발에 대뇌 후두정피질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0일 밝혔다. 후두정피질은 뇌의 뒤쪽 정수리에 있는 두정엽의 일부로, 공간적 추론이나 의사결정 판단 등 고위뇌인지 기능에 관여한다.

후두정피질, PTSD 발현에 중추 역할
후두정피질 억제에 의한 환경 특이적 공포기억 재발 억제효과 결과

후두정피질 억제에 의한 환경 특이적 공포기억 재발 억제효과 결과

원본보기 아이콘

연구팀은 실험용 쥐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후두정피질의 역할에 대해 알아냈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들에게 특정 소리를 들려준 뒤 전기충격을 가해 '청각공포기억'을 만들어줬다. 이후 새로운 환경에서 같은 소리를 들려줬다. 이에 쥐들은 청각공포기억에 따라 공포 반응을 보였다. 이어 연구팀은 이들 쥐 중 일부에 약물을 처리하거나 빛을 쬐어 후두정피질의 활동을 억제했다. 후두정피질의 활동이 억제된 쥐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공포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종소리를 들려주며 음식을 같이 주었던 '파블로프의 개'와 같은 조건화학습 기억을 심어줬는데, 후두정피질의 활동을 억제했더니 새로운 환경에서는 PTSD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PTSD는 심각한 사고, 폭력 등을 경험한 이후에도 반복적인 고통을 느끼는 증상이다. 환자들은 처음 사건발생 장소와 비슷한 곳에만 가더라도 트라우마가 재발하기 때문에 만성적인 고통을 겪는다. 세월호 참사, 대구 지하철 화재 등 국가적 재난을 겪은 생존자들이 사고 기억으로 인해 배나 지하철을 타는 것을 꺼리는 현상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연구팀은 후두정피질의 활동을 억제한 결과, 처음 공포기억이 형성됐던 장소에서의 공포기억 재발이나 일반적인 기억의 발현 등 두뇌활동은 저해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후두정피질 제어해 PTSD 조절 가능
구자욱 책임연구원, 주빛나 학생연구원, 이석원 선임연구원

구자욱 책임연구원, 주빛나 학생연구원, 이석원 선임연구원

원본보기 아이콘

구자욱 박사는 "그동안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던 후두정피질의 역할을 새로이 규명했다"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나 공포증 환자의 공포기억 재발을 막는 치료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뇌연구원의 대뇌피질융합사업연구단은 2026년까지 후두정피질 중심의 '행동-활성 뇌지도'를 구축할 계획이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