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전환대출 탈락?…"집값 3억원 미만은 기다려봐야"(종합)

탈락자 없을 경우 2억1000만원이지만
40%까지 탈락·포기하면 2억8000만원까지 가능
탈락자 상당수 보금자리론 대환 조건 갖춰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온라인을 통해 정상 접수한 경우 향후 절차

온라인을 통해 정상 접수한 경우 향후 절차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지난 2주간 접수됐던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신청액이 당초 공급목표의 3배를 훌쩍 넘었다. 접수 상황만 봤을 때 지원대상은 주택가격 2억1000만원 이하지만, 중도포기나 자격미비 등 탈락자가 발생하면 커트라인은 2억8000만원까지 오를 가능성도 열려있다.


30일 금융당국은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신청결과 신청액이 73조9253억원(63만4875건)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커트라인은 = 당초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은 20조원을 공급하기로 했었다. 신청이 몰리면 주택가격이 낮은 가구부터 우선 지원하기로 함에 따라 주택가격이 2억1000만원 이하 가구가 먼저 심사 대상이 된다. 다만 자격 요건 미비나 대환을 포기하는 사람이 나타나면 차순위 대상이 지원받을 수 있어 최종 커트라인은 오를 수 있다. 금융당국은 최대 40%가 탈락 또는 포기할 경우 주택가격이 2억8000만원인 가구까지 대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당국은 이번 신청과정에서 간소화 서비스 등으로 실제 서류 확인을 거치지 않은 신청자가 다수 있다는 점과 이자만 내던 일부 대환 신청자의 경우 원금 상황까지 부담할 경우 부담이 늘어 포기할 수 있다는 점, 시장 금리가 더 낮은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는 점 때문에 변동금리를 선호할 수 있도 있다는 점 등으로 인해 중도탈락자와 포기자가 다수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환은 10월부터 12월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대상 차주에게는 주택금융공사 콜센터에서 연락이 간다. 다만 신청 경로에 따라 대환 절차 등이 차이가 있다. 서비스 신청이 폭주하면서 온라인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신청한 사람들의 경우, 주택가격이 기준 가격보다 낮았을 경우 문자메시지로 연락이 간다. 이들은 이후 대출을 위한 상세정보를 제출하는 과정을 밟아야 한다. 온라인으로 신청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전화 등을 통해 대환진행여부 등을 확인한 뒤, 추가 서류 등을 제출하면 된다. 은행 창구를 이용한 경우에는 심사가 완료된 뒤 대출계약서를 작성 완료하면 된다.

금융당국은 커트라인이 2억1000만원일 경우를 가정했을 때 향후 20년간 1인당 75만원의 이자부담 경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안심전환대출 탈락?…"집값 3억원 미만은 기다려봐야"(종합) 원본보기 아이콘

◆탈락자들은 = 금융위는 이번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탈락자 상당수가 보금자리론 신청 자격을 갖췄다며, 보금자리론을 통한 대환 신청을 권고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장시간 기다리면서 어렵게 신청절차를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많은 분들께 지원을 못하게 되어 안타깝다"면서 "탈락자 가운데 61%(커트라인 2억1000만원 가정시)는 안심전환대출과 유사한 2%초반대의 금리로 보금자리론을 이용해 대환을 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주택가격이 3억원 이하인 차주의 경우에는 중도탈락자 발생 등으로 기회가 있을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 달라고 당부했다. 커트라인은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추가적인 안심전환대출 등은 당분간 발표되지 않는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시장 수요가 있다면 그때가서 검토하겠지만 당분간은 그럴 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별 득실은 = 금융위는 이번 서민형 안심전환대출로 인해 지방 거주자들이 상당부분 혜택을 볼 것으로 내다봤다. 당초 신청자는 수도권 거주자가 더 많았지만,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주택가격이 낮게 결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주택 거주자가 많은 지방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손 부위원장은 "샘플 조사 결과 수도권 신청자가 62%였지만, 보수적 커트라인 2억1000만원을 적용하면 수도권 비중이 46%로 낮아진다"면서 "충청남도 등 집값이 낮은 곳에 신청할 경우 수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