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세계 최대 차량공유 업체 우버와 리프트가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한다. 대중교통과의 협업을 늘려가며 종합 교통 플랫폼으로 나아가겠다는 전략이다. 여전히 기존 업계와 신규 모빌리티 업체 간의 갈등으로 별다른 진전이 없는 국내 상황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리프트는 최근 미국 뉴욕 지역의 지하철역과 버스 정류장, 공유자전거 보관소 등의 정보도 리프트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뉴욕과 인근 지역을 잇는 통근열차에 관한 정보도 알려준다. 구글맵 등 다른 지도앱을 사용하지 않고도 거의 모든 대중교통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는 운전기사 최저임금 지급을 요구하고 신규 면허 발급을 중단시키는 등 지속적으로 모빌리티 업계를 압박하던 뉴욕 당국과의 관계를 전환하는 한편 대중교통까지 아우르는 종합 교통 플랫폼으로 나아가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된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리프트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리프트 앱 내에서 모든 교통 정보를 접하고 활용하도록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실제로 리프트는 뉴욕 뿐만 아니라 이 같은 기능을 미국 로스엔젤레스(LA), 워싱턴DC, 보스턴, 시애틀, 시카고 등에도 적용했다. 다만 아직 승차권 구입이나 요금 결제 같은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업계 1위인 우버도 유사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올해 초부터 앱 내에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덴버 지역의 경우 승차권 구입 기능도 함께 제공할 정도다.
여전히 출발조차 못하고 있는 국내 모빌리티 업계와는 대조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7일 국토교통부는 '혁신성장 및 상생발전을 위한 택시제도 개편방안'(상생안)을 발표했다. 표면적으로는 새로운 모빌리티 사업의 길을 터주고 있지만 오히려 진입장벽을 높였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새로운 운송사업에 쓸 수 있는 차량을 직접 보유한 차량으로 사실상 제한한 데다 택시 외에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들이 운행할 수 있는 차량을 제한했기 때문이다. 할당된 총량을 넘어서는 규모의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선 대당 7000만원에 이르는 택시 면허를 매입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에선 이미 당국과 기존업계가 갈등조정의 과정을 거치며 한 발 나아가고 있는데 국내는 거의 진전이 없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국내와 해외 모빌리티 업계 간의 격차는 좁힐 수 없는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