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백은하 기자] 문재인 정부가 지난 2017년 9월 정부 부처 합동으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한 후, 전기자동차 보급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8일 환경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전기차가 처음 보급된 것은 2011년이다. 2011년부터 2017년 9월까지 보급대수는 총 2만 593대였다. 그런데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발표 이후 지난해 9월까지 1년 동안 2만 6375대가 보급됐다.
전기차는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으로, 화석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무공해 차량이다.
전기차 사용량이 늘어나면 내연기관차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감소돼, 전기차 1대 보급으로 연간 2t 가량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
광주광역시는 친환경차 선도 도시 선점을 위해 노력해왔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총 2030대의 전기차를 보급했다. 전기차가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충전 시설의 인프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광주시는 전기차 충전기를 총 1571기를 보급했다. 완속충전기는 완전방전에서 완속 충전까지 4~5시간이 걸리며, 배터리 용량은 약 6~7㎾다. 급속충전기는 완전방전에서 80% 충전까지 30분이 걸리고 50~200㎾까지의 고용량 전력을 공급한다. 광주시에 급속충전기가 설치돼 있는 곳은 총 39곳, 171기였다. 동구 6곳, 서구 8곳, 남구 6곳, 북구 7곳, 광산구 12곳이다.
문제는 전기차 충전소에 대한 관리다.
실제로 본보가 지난 5일 오후 5시께, 전기차(SM3) 운전자와 동승해 충전을 해 보기 위해 찾은 곳은 서구 P행정복지센터 주차장.
지하 주차장은 어두웠다. 충전기 바로 앞 주차 공간은 비어 있었지만 차량이 진입하기에는 좁은 공간이었다. 바로 옆에 승용차가 주차돼 있었기 때문이다.
서구 풍암호수주차장의 경우는 그 어느 곳에도 전기차 충전소 안내판이 없어서 주차장을 두바퀴 돌고 나서야 후미진 곳에 위치해 있는 충전 시설을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충전기는 전원이 꺼져 있었다.
동구청은 충전기를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충전기 한 대는 이미 충전 중이었고, 나머지 한 대는 승용차가 주차돼 있어서 충전이 불가능했다.
I-PLEX광주주차장의 경우에는 두 기의 충전 시설이 있었다. 한 기는 차량이 주차돼 있었고 나머지 한 기가 비어 있어서 겨우 충전을 할 수 있었다. 네 곳을 이동한 후에야 겨우 충전에 성공했다. 2시간 30분이 흐른 후였다. 이 시간 동안 실제 충전을 하고 있는 전기차는 단 한대에 불과했다.
광주시는 전기충전소 불법 주정차와 관련해서 산업통상자원부 법령(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개정으로 충전구역에 일반 차량이 주차한 경우 단속토록 명시하고, 2019년 4월부터 1차 경고, 2차 과태료 부과를 시행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소 주차 관련해서 시민들에게 더욱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불법주차에 관한 시민들의 의식 변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전기차 운전자 강모씨(37·동명동 거주)씨는 “평소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아서 전기차를 타면 환경에도 도움이 되고 연료비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구매하게 됐다”며 “앞으로 운전자가 사용에 편리하도록 충전 시설 관리가 잘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실사용자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전기차 충전소의 안전한 사용 환경 조성을 해 나가겠다. 또한 전기차충전소 모니터링 강화 등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해나가겠다”며 “무엇보다 시민들의 성숙한 의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