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운수업 매출이 전년 대비 20%가량 증가한 232조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엔데믹(Endemic·풍토병화)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항공여객 매출은 200% 가까이 증가했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운수업 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운수업 매출액은 232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8조5000억원(19.8%) 증가했다. 육상운송업이 81조9000억원으로 전체의 35.2%, 창고·운송서비스업은 63조9000억원(27.5%), 수상운송업은 63조4000억원(27.3%), 항공운송업은 23조4000억원(10.1%)의 매출을 기록했다.
항공운송업 매출액은 1년 전과 비교해 57.9% 증가해 업종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항공화물 매출액은 12조3960억원으로 12.2% 늘었고, 항공여객은 10조9810원으로 192.7% 급증했다. 통계청은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 거리두기 해제로 해외 여행객 수요가 크게 늘면서 항공운송 매출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육상운송업은 도로화물이 51조4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육상여객 20조7000원, 철도운송 9조3000억원, 기타운송 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상운송업은 외항운송 매출이 60조8000억원을 기록하며 37.1% 증가해 전체 수상운송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창고·운송서비스업은 화물취급중개 37조6000억원, 운송지원 13조1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운수업 기업체 수와 종사자 수 모두 증가했다. 기업체 수는 59만8000개로 전년 대비 4.1% 늘었다. 육상운송업 57만4000개(95.9%), 창고·운송서비스업 2만3000개(3.9%), 수상운송업 1000개(0.2%), 항공운송업 72개(0.0%) 등이다. 용달·개별화물자동차운송업 등 육상운송업(4.2%) 중심으로 운수업 전체 기업체 수 늘어난 반면 수상운송업(-3.6%)에서 감소했다.
종사자 수는 전년보다 1.6% 증가한 133만8000명 늘었다. 육상운송업이 105만1000명(78.6%)으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어 창고·운송서비스업 22만3000명(16.6%), 항공운송업 3만8000명(2.8%), 수상운송업 2만6000명(2.0%) 등이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