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미·중 무역분쟁, 중국 외교부 "외부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중국 정부가 미국 관세 압력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13일(현지시간) 중국 외교부 겅솽(耿爽)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중국은 외부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추가 관세로 갈등을 해결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스스로 합법적이고 정당한 권리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2000억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높인데 이어 3000억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도 관세 인상을 예고했다.


다만 관세 보복에 나서지 않는 배경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겅 대변인은 "계속 자켜봐 달라"고 답변했다.


앞서 웨이젠궈(魏建國) 전 중국 상무부 부부장(차관)은 이날 중국이 상품 관세를 뛰어 넘는 '강 펀치'를 미국에 날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웨이 부부장은 "중국은 미국에 보복할 많은 선택지를 가지고 있다"며 "중국은 이미 무역전쟁이 악화될 것을 대비해 비상계획을 마련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은 '쿵푸의 달인' 처럼 미국의 교묘한 속임수에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노련한 권투선수 처럼 강펀지를 날릴 수도 있다"고 경고하며 "2020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기반 핵심을 겨냥하는 차원에서 미국의 농축산물 특히 밀, 옥수수, 돼지고기 등이 보복의 타깃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미국산 자동차와 항공기에도 제재를 가할 수 있어 이들 상품들의 중국 시장 진출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상품을 넘어 금융, 관광, 문화 등 서비스 분야도 보복의 목표물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