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단독] "5개 퀀텀 거점 지정해 '퀀텀 고속도로'로 연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과기정통부 양자 종합계획 및 양자클러스터 기본계획안 공개
컴퓨터·통신·센싱 등 양자 산업 지원 및 지역 양자인프라 추진
공청회장마다 지자체 관계자들로 성황‥정부 지원책에 촉각
12월 중 종합 계획 발표

27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이삼봉홀에서 열린 '제1차 양자 종합계획 및 양자클러스터 기본계획(안) 공청회'는 발표자는 물론 참석자들의 열기가 넘쳐났다. 전국 각지에서 몰려온 참석자들의 정부의 퀀텀 거점 지정 계획에 큰 관심을 보였다.


준비된 좌석이 모두 찼고, 자리를 잡지 못한 참석자들은 행사장 뒤편에 서 있으면서도 발표 내용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참석자들은 심주섭 과기정통부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이 발표를 위해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바꿀 때마다 스마트폰을 들고 사진으로 담았다.

[단독] "5개 퀀텀 거점 지정해 '퀀텀 고속도로'로 연결"
AD
원본보기 아이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대전에 이어 27일 서울에서 '제1차 양자종합계획 및 양자 클러스터 기본계획(안)'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연달아 개최했다.

제1차 양자종합계획 및 양자 클러스터 기본계획은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4조에 따라 추진되는 법정계획이다. 향후 우리나라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한 대한민국의 중장기 정책목표 및 방향을 설정하는 최상위 계획이다. 범부처 차원의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게 된다.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실장은 인사말을 통해 "양자의 강자인 IBM도 직접 가봤지만, 양자가 현실화할 날이 정말 얼마 남지 않았다. 과거 레이저 기술도 어느 순간 활용처가 등장하며 급성장했듯 양자도 같은 길을 가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빈자리가 없다‥게임 체인저 양자에 쏠린 눈

양일간 열린 행사장은 대한민국 양자 산업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려는 절박함과 기대감으로 가득 찼다. 미국 등 선도국 대비 기술 수준이 극히 부진하다는 지적을 받던 한국 양자 생태계가 이번 계획을 통해 확실한 반전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 확인하려는 열기가 뜨거웠다.

이날 세부추진 계획을 발표한 심주섭 과기정통부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은 "양자 기술을 단순 연구를 넘어 산업으로 연결하겠다"며 구체적인 청사진을 내놨다.


이날 발표된 내용 중 상당수는 기존 양자플래그십 사업의 내용과 대동소이했다. 반도체 기술에 기반한 양자컴퓨터 개발, 중성원자 방식의1000 큐비트급 양자컴퓨터 개발·전국 단위 양자암호통신(QKD) 시범망 구축·연간 100명의 핵심 인재 양성 등 목표도 함께 제시됐다. 양자와 인공지능(AI) 기술의 융합에 대한 지원 등도 포함됐다.

전국 5곳 퀀텀 클러스터 지정해 퀀텀 고속도로 구축

이번 공청회에서 눈에 띈 내용은 양자클러스터 기본계획안이다. 양자클러스터 지정 계획은 이날 처음 공개됐다. 이를 반영하듯 행사 참석자들의 상당수가 지자체 양자 담당자였다.

양자클러스터 기본계획안에서 공개된 클러스터 지정방안. 과기정통부는 이번 계획안은 아직 미확정이라고 덧붙였다. 자료=과기정통부

양자클러스터 기본계획안에서 공개된 클러스터 지정방안. 과기정통부는 이번 계획안은 아직 미확정이라고 덧붙였다. 자료=과기정통부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는 전국에 5개 이내의 '퀀텀 클러스터'를 지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대학(기술)과 기업(수요)을 잇는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특히 5개 거점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퀀텀 고속도로'를 구축해, 전국 어디서나 양자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초연결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퀀텀 고속도로로는 퀀텀 클러스터 간의 초신뢰 연결과 개방형 인프라 조성을 위해, 클러스터를 잇는 전용 네트워크다. 이를 기반으로 각 클러스터는 지역 주력 산업과 연계된 '양자전환(QX) 특화거점'으로 거듭나게 된다.


심 과장은 "지역 중심의 양자전환 기술 혁신을 통해 반도체, 모빌리티 등 지역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2026년 2월까지 지정 기준을 마련하고 후보지 공모를 거쳐, 2026년 이내에 퀀텀 클러스터를 최종 지정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운영과 차등적 재정 지원은 성과 평가를 거쳐 2027년부터 시행된다.


지정된 클러스터에는 파격적인 혜택이 주어진다. 심 과장은 "기본계획의 효력 기간인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 동안, '양자기술산업법'이 정한 각종 지원 및 우대 조치를 우선 적용할 것"이라며 "성과에 따라 지원 기간 연장 여부도 결정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과기정통부의 발표와 토론 이후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 시간에는 지자체 담당자들은 지정 방안에 대해 집중적인 질문을 쏟아냈다. 그만큼 양자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는 지자체들이 정부의 지원 방안에 맞춰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궁금증이 크다는 뜻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공청회 의견을 반영해 계획안을 최종 보완한 뒤, 오는 12월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양자전략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한 참석자는 "정부의 계획이 조속히 마련돼 한국 양자 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백종민 테크 스페셜리스트 cinqang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