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저축은행일수록 연체율 회복 어려워
부동산PF 부실과 지방경기 부진 근본원인
단기해결 쉽지않아…"건전성중심 경영유지"
저축은행 열 곳 중 일곱 곳은 금융당국 요구치보다 연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규모가 작은 저축은행일수록 연체율 회복 속도가 더딘 양극화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는 만큼 건전성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당국 연체율 권고치 5~6%에 미치지 못하는 저축은행은 54곳이었다. 전국 79개 저축은행 중 68.4%가 당국 권고치보다 저조했다. 대부분 저축은행은 2022년 하반기 발생한 소위 '레고랜드 사태' 이후 연체율이 급등했다.
금융감독당국의 독려에도 저축은행들은 연체율 관리에 애를 먹고 있다. 2022년 연말부터 올 6월 말까지의 연체율을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말 연체율이 가장 높았던 저축은행이 37곳(46.8%)으로 가장 많았다. 이복현 전 금감원장 재임기인 2023년부터 저축은행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 작업을 독려했으나 아직 만족스러운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금융위원회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라온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은 연체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라온저축은행의 연체율은 2023년 말 14.87%, 지난해 말 19.03%, 6월 말 20.11%로 상승했다. 지난 3월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상상인저축은행 연체율은 같은 기간 13.83%→18.7%→21.24%로 나빠졌다. 그나마 라온저축은행과 같은 날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안국저축은행 연체율은 18.13%→11.56%→8.14%로 개선세를 보였다.
수도권·대형 저축은행보다 지방·중소형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 회복 속도가 더디다는 점도 문제다. 이르면 연말, 늦어도 내년 초부터는 부실채권(NPL) 매입을 시작하는 저축은행중앙회 전문 자회사 'SB NPL 대부'를 비롯한 NPL 회사들과 업계의 노력만으로는 건전성 개선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무너진 근본적 이유가 부동산PF 부실 및 지방 경기 부진이라는 구조적 문제인 만큼 수익성 중심의 영업 활동을 하기도 어려워졌다. 연체율 회복 속도가 더뎌질수록 수익성까지 나빠지는 이중고를 겪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저축은행 업계는 영업확대 전략보다는 자산건전성 제고,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 리스크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둔 경영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와 업계 전체가 자체 경공매를 통한 매각, 상각과 자산운용사 정상화펀드 운용 등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쓸 수 있는 대책은 모두 쓰고 있는 상황"이라며 "당분간은 대출 취급을 늘려 기대수익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우지 않고 건전성 지표 관리에 모든 역량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163만원 입금하자 돌아온 '역정'…믿고 시작한 부...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책의 맥]정책실험, 공허한 슬로건 안 되려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14385845227A.jpg)
![[기자수첩]잠들지 않는 시장보다 중요한 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10150274909A.jpg)
![[시시비비]AI 세대와 낡은 평가 방식의 충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08263103640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속보]이창용 "환율 레벨 걱정 안 한다, 해외투자 위험 관리 되고 있는지 우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09020526457_176368332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