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韓 성장률, 내년보다 내후년 좋다"…부동산·환율 불안, 한은 11월 '금리 동결'(종합)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한국은행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상향 조정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을 위협하며 고공행진 하고 있는 데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에도 서울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금융 안정에 힘이 실렸다.

이날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와 내년 예상 성장률을 상향 조정한 점도 경기 하방 압력에 따른 금리 인하 부담을 줄였다는 분석이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올해 1.0%·내년 1.8%·2027년 1.9% 성장 전망"
내년 소비 개선 지속·건설 투자 반등
수출, 美 관세 영향 본격화에도 "반도체가 이끈다"

금리 4연속 동결, 2.50% 유지…환율·부동산 불안 점검해야
다음 인하 전망 갈리지만…"내년 1월도 어렵다"

한국은행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상향 조정했다. 잠재성장률(1.8~2.0%)에 대체로 부합하는 수치다. 올해 역시 '0%대 저성장' 예상을 넘어 '1% 성장'은 가능할 것으로 봤다. 내년 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에도 반도체 호조세가 수출을 견인하고, 내수 역시 그간 부진했던 건설투자의 반등과 소비회복 등으로 개선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준금리는 연 2.50%로 동결했다. 성장률을 올려잡으며 경기 우려가 옅어진 상황에서 집값 상승세와 환율 불안이 이어지자, 금융안정에 무게를 둔 결정이 이뤄진 것으로 평가됐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내년 한국 경제 1.8% 성장 전망…소비 개선 지속·건설투자 반등

한은은 27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 후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내년 우리나라 경제가 1.8%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8월 전망(1.6%) 대비 0.2%포인트 올려잡은 수치다. 올해 성장률도 종전 전망보다 0.1%포인트 상향한 1.0% 성장을 점쳤다. 2027년 성장률 전망은 1.9%로 제시했다.

내년 성장률 '1.8%'는 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놓은 전망치 1.8%와 같고, 한국금융연구원(2.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 2.2%보다 낮은 수준이다. 내년 잠재성장률(2024~2026년 연평균 2.0%, 2025~2029년 연평균 1.8%)에도 대체로 부합한다.


한은이 성장률을 상향 조정한 건 올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기 회복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한국 경제는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내수 부진에 관세 불확실성을 겪으며 1분기 -0.2%로 역성장했고, 2분기(0.7%)에도 0%대 성장에 그쳤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소비와 투자가 살아나고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 호조도 이어지면서 올 3분기 전망치(1.1%)를 웃돌며 1.2% 성장했다. 특히 민간 소비가 전 분기 대비 1.3% 늘면서 성장을 주도했다.


내수가 이끄는 경기 개선 흐름은 내년에 보다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역대 최대인 728조원 규모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이런 확장적 재정 기조로 내수 중에서도 정부 소비는 올해보다 내년 더 확대될 수 있다. 올 하반기 들어 회복 반등한 민간소비도 내년 양호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관련 투자 수요를 중심으로 완만한 증가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9월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12.7% 증가하며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그간 성장률을 갉아먹은 건설투자도 올해 역성장에서 내년 증가 전환하며 부진이 일부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올 3분기 건설투자는 전 분기 대비 0.1% 감소하며 6분기째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갔지만 감소 폭은 줄었다. 선행지표 흐름을 보더라도 3분기 건설수주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5% 급증해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건설수주가 실제 착공까지 이어지는 데 일부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 건설투자 회복 속도는 더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은 역시 인프라(SOC) 예산 확대, 반도체공장 건설 재개 등으로 올해 3분기를 저점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韓 성장률, 내년보다 내후년 좋다"…부동산·환율 불안, 한은 11월 '금리 동결'(종합) 원본보기 아이콘
수출, 美 관세 영향 본격화에도 "반도체가 이끈다"

수출은 미국 관세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내년부터 본격화하면서 다소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견고한 반도체 수요가 하방 압력을 상쇄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 대미 수출 감소에도 전체 수출 실적은 나쁘지 않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대미 수출은 87억1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6.2% 줄었지만, 전체 수출은 595억7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10월 중 최대 수출액을 달성했다. 이달 들어서도 20일까지 385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8.2% 늘었다. 대미 수출도 같은 기간 5.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1.8%라는 숫자도 잠재성장률을 확연히 웃도는 건 아니지만, 올해 성장률이나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라면서도 "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에 높은 환율, 석유화학 등 만만찮은 국내 경기, 경상수지가 좋더라도 자본이 더 많이 빠져나가는 형국이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전망치만큼 실제 실현될지 역시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은 올해와 내년 각각 2.1%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 8월 전망과 비교하면 각각 0.1%포인트, 0.2%포인트 높여 잡은 수치다. 2027년 전망치는 2.0%다. 내년 유가는 하향 안정화가 예상되나, 원·달러 환율 수준이 높아지면서 수입물가 등에 미치는 부담이 커질 것이라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한은은 추가 상승 가능성보다는 2% 안팎의 안정에 무게를 뒀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지난 2일 '물가상황 점검회의'에서 "지난해 대비 낮아진 유가 수준, 여행 서비스가격 둔화 전망 등을 고려할 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말·연초 2% 내외로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韓 성장률, 내년보다 내후년 좋다"…부동산·환율 불안, 한은 11월 '금리 동결'(종합) 원본보기 아이콘
금리 4연속 동결, 2.50% 유지…환율·부동산 불안 점검해야

한편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지난 7·8·10월에 이은 4연속 동결로, 시장 전망에 부합하는 결과다. 앞선 아시아경제 전문가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 13명 전원이 이달 금리 동결을 점친 바 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을 위협하며 고공행진 하고 있는 데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에도 서울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금융 안정에 힘이 실렸다. 이날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와 내년 예상 성장률을 상향 조정한 점도 경기 하방 압력에 따른 금리 인하 부담을 줄였다는 분석이다.


이달 동결의 주요 요인은 환율 불안이다. 지난 2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주간 거래 종가는 1477.1원으로, 미국 관세전쟁 공포가 컸던 지난 4월9일(1484.1원) 이후 약 7개월 반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후 외환 당국이 환율 안정 의지를 강조했음에도 1470원 선 전후에서 움직이며 고공행진 중이다. 원화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보여주는 실질실효환율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올해 10월 말 기준 89.09(2020년=100)로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8월 말(88.88) 이후 16년 2개월 만에 최저치다. 미국이 최근 잇따라 정책금리 인하에 나섰으나 한미 금리 차는 상단 기준 1.5%포인트 수준으로 여전히 높다.


부동산 시장 관련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금리 동결에 힘을 실었다. 10·15 대책 후 둔화하던 서울 집값 상승세는 최근 재차 오름폭을 키우며 금리 동결 결정에 작용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11월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0% 올랐다.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 0.50%까지 뛰었던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같은 달 넷째 주 0.23%, 11월 첫째 주 0.19%, 둘째 주 0.17% 등으로 상승 폭을 줄여가다 4주 만에 다시 오름폭을 확대했다. 매물이 줄고 거래가 위축되며 관망세가 나타났으나,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소화되는 모습이다.


이날 금통위는 "성장률 전망이 상향 조정됐으나 향후 경로에 상·하방 요인이 모두 잠재해 있고 물가상승률은 예상보다 다소 높아진 상황"이라며 "수도권 주택가격 및 가계부채 리스크, 환율 변동성 확대의 영향 등에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이에 따라 향후 통화정책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되,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성장 및 물가 흐름,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며 추가 인하 여부 및 시기를 결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다음 인하 전망 갈리지만…"내년 1월도 어렵다"

다음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전문가 의견은 크게 갈리고 있으나, 대체로 내년 1월까진 어렵다는 전망이다. 내년 1분기 인하를 전망한 전문가들 역시 국내 경기 개선 상황에도 내수 회복세가 아직 더디다는 점에서 추가 금리 인하의 필요성이 있다면서도, 금융안정 수준을 확인하면서 인하 시기를 가늠할 것이라고 봤다. 강민주 ING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심리 개선, 환율 변동성 축소, 내수 경기 안정화, 정부의 10·15 대책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점진적 안정화 효과 등을 확인하면서 인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사실상 인하 사이클이 끝났다고 보는 전문가도 적지 않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대미 현금투자, 한미 환율협상은 전반적으로 당국의 외환시장 안정 능력을 제한했다"며 "국내총생산(GDP)과 잠재성장률 간의 갭 해소 시 성장에 대한 통화정책 대응 필요성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짚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