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700조원대 우주산업 진입[양낙규의 Defence Club]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누리호 4차발사 성공에 위성개발, 통신서비스 등 박차
내년부터 5차 발사도 주도… 고해상도 위성 개발 속도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민간이 주도하는 뉴스페이스(New Space)를 개척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우주시장 진입에 속도를 내게 됐다. 글로벌 컨설팅사 맥킨지에 따르면 우주 시장은 2035년까지 1조8000억달러(약 2700조원) 규모까지 커질 전망이다. 발사체뿐 아니라 위성, 위성항법장치(GPS), 통신 등 고부가가치 시장이 포함된 규모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 발사로 자체 정찰위성. 우주탐사 전력. 미사일 기술확보라는 세 마리 토끼 잡으면서 우주시장 지배력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700조원대 우주산업 진입[양낙규의 Defence Club]
AD
원본보기 아이콘


27일 관련업계와 항공우주연구원 등에 따르면 이번 누리호 4차 발사는 민간 체계종합기업(발사체 개발·운용을 총괄하는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부터 조립, 구성품 참여업체 관리 등 발사 직전까지 모든 과정을 주관했다.

민간 기업 주도의 위성 발사가 성공하면서 우주 수송을 비롯해 위성 관련 시장도 덩달아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방산기업인 한화시스템은 위성의 해상도를 더 높인다는 계획이다. 현재 상용화된 고해상도 SAR(합성개구레이다) 위성의 최고 해상도 수준은 25㎝다. 지상으로 레이다를 쏜 후 반사되는 데이터를 합성해 사진을 만들어 내는데 책 크기 정도의 사물까지 식별할 수 있다. 현재 미국 엄브라·카펠라스페이스가 25㎝급 고해상도 위성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유럽의 에어버스·아이스아이 역시 상용화의 문턱을 넘었다. 정보를 비공개하고 있는 중국 역시 25㎝급 개발에 성공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화시스템은 앞으로 15㎝급으로 기술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휴대폰 크기까지 식별할 수 있는 기술로 2027년 말까지 개발한다는 내부 목표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한화는 '우주 수송 서비스-위성체-위성 서비스'로 연결되는 우주 사업 가치사슬을 구축할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7월에는 항우연으로부터 누리호 개발 기술을 이전받았다. 이에 따라 회사는 2032년까지 누리호를 직접 제작하고 발사할 수 있는 통상실시권을 확보했다. 통상실시권 시점을 2032년까지로 설정한 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마찬가지로 체계종합기업으로 참여 중인 차세대발사체의 개발 완료 시점인 2032년에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위성을 포함한 우주시장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될 누리호 5·6차 발사를 통해 항만물류추적, 산불·홍수 예측, 도시 인프라 안전 점검 등이 가능한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다. 또 농작물 모니터링을 통해 작물의 생육상태를 파악해 농산물 수확량을 예측하거나 작은 불씨를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활동도 가능해진다.

통신망 서비스도 적용할 수 있다. 미국의 마운틴뷰 같은 위성통신업체와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다. 위성통신의 특성상 국경을 따지지 않는다. 이동통신은 해외에 나가 이용하려면 로밍이나 유심 변경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위성은 지구 전체를 하나로 연결하는 단일 통화권이어서 해외에서도 로밍 등을 할 필요가 없다. 군사위성 발사도 주도할 수 있다. 군은 내년 하반기 초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검증 위성이 우주에 발사될 예정이다. 초소형 위성 전력화가 완료되면 '425 사업'으로 확보하는 무게 800∼1000㎏인 중대형 군사 정찰위성 5개와 상호보완적 운용이 가능한 우리 군의 '킬 체인' 핵심 전력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군사용 미사일 개발 속도도 빨라진다. 누리호와 같은 우주발사체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MB)과 기술적인 면에서 비슷한 점이 많다. 로켓 엔진과 단 분리 등 기반 기술이 대표적이다. 이 때문에 북한이 위성을 발사한다고 할 때마다 국제사회는 ICBM 개발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다만 재진입기술, 연료 종류에 차이가 있다. 누리호는 액체연료를 사용해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ICBM이라고 볼 수 없다. 우리 군은 이미 북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탄두 중량 8t가량의 고위력 탄도미사일인 '현무-6'을 개발 중에 있다. 군 당국이 개발 중인 이 고위력 탄도미사일들은 핵탄두를 제외한 재래식 탄두 중에선 세계 최고 수준의 폭발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양낙규 군사 및 방산 스페셜리스트 if@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