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월급에서 그렇게 빼가더니 연금 고작 66만원…한국인들, 은퇴해도 못 쉰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한국 노인들이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가장 늦게까지, 가장 많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오유진 국민연금연구원 주임연구원의 '국민연금과 고령자 노동 공급'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 65세 이상 인구가 20.3%에 달해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은 37.3%로 OECD 평균 13.6%를 훌쩍 뛰어넘어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뒤 원각사 무료급식소 앞에 어르신들이 줄을 지어 앉아 급식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 아시아경제DB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뒤 원각사 무료급식소 앞에 어르신들이 줄을 지어 앉아 급식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 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 노인들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늦게까지, 가장 많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즐거움'보다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6일 오유진 국민연금연구원 주임연구원의 '국민연금과 고령자 노동 공급'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 65세 이상 인구가 20.3%에 달해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은 37.3%(2023년 기준)로 OECD 평균 13.6%를 훌쩍 뛰어넘어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25.3%)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다.

월급에서 그렇게 빼가더니 연금 고작 66만원…한국인들, 은퇴해도 못 쉰다 원본보기 아이콘


통계청 조사 결과, 한국의 고령층이 희망하는 근로 연령은 평균 73.4세에 달했다. 이들이 일을 계속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54.4%)'였다. '일하는 즐거움(36.1%)'이나 '무료함 달래기(4.0%)'보다 생계형 근로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보고서는 이런 현상의 근본 원인으로 턱없이 부족한 공적연금 수준을 지목했다. 2024년 기준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은 약 66만원에 불과하다. 이는 같은 해 1인 가구 월 최저생계비인 134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경기도 5070 일자리 박람회'에 참가한 구직자가 이력서 사진을 촬영 하고 있다. 2025.10.14 강진형 기자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경기도 5070 일자리 박람회'에 참가한 구직자가 이력서 사진을 촬영 하고 있다. 2025.10.14 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법적 정년과 실제 퇴직 연령 사이의 괴리에서 오는 '소득 공백기'도 문제다. 현재 법적 정년은 60세지만 주된 일자리에서의 평균 퇴직 연령은 52.9세(2025년 기준)에 불과하다. 반면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나이는 1961~1964년생의 경우 63세, 1969년생 이후부터는 65세로 점차 늦춰지고 있다. 직장에서 물러난 뒤 연금을 손에 쥐기까지 최소 10년 이상의 '보릿고개'를 겪어야 한다는 의미다.


한국의 고령자들은 연금이 있어도 일을 해야 하고, 연금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기 위해서라도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고령층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