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APEC·국빈 방문까지
대만 문제 관련 "입장 변화 없어"
차기 Fed 의장, 크리스마스 전 발표될 가능성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내년에 최대 4차례 미·중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1년 동안 (미·중 정상 간) 4차례의 회담이 있다면 그것은 양국 관계에 큰 안정성을 부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 주석은 미국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주최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이 있다며 내년 한 해 동안 최소 네 차례의 미·중 정상 회동이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 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시 주석이 내년 4월 베이징 방문을 초청했고, 난 이를 수락했다"며 "시 주석은 내년 중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나의 손님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4일 이뤄진 미·중 정상 통화는 시 주석이 먼저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청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베선트 장관은 "그(시 주석)는 도랄(플로리다주)에서 열리는 G20 참석을 위해서도 미국에 오게 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6년 G20과 APEC은 각각 12월과 11월에 예정돼 있어, 양국 정상은 국빈 방문뿐 아니라 다자회의를 계기로도 별도의 정상회담을 가질 수 있다.
베선트 장관은 "양국은 항상 경쟁자가 될 것이고 그건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도 "양국 정상 간 대면 회담으로 인한 안정성은 미국 국민에게도 좋고, 세계 경제에도 좋다"고 강조했다.
다만 '대만 문제'와 관련해서는 "미국의 대만에 대한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전날 중국 신화통신은 미·중 정상 통화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중국에 있어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서 통화 내용을 밝히며 대만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이날 차기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선출을 위한 후보자 면접이 진행된다고 밝히며 "대통령이 크리스마스 전에 차기 의장을 발표할 수도 있다"고 했다.
현재 차기 의장 후보군에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케빈 워시 전 Fed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 미셸 보먼 Fed 이사, 블랙록의 릭 라이더 채권부문 최고투자책임자(CIO) 등 5명이 거론된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지금 주문해도 4년 뒤에야 받는다…전 세계가 'K전...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회사 왜 다녀요, 여기서 돈 많이 주는데"…부자 옆으로 갑니다 [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510574730672_1764035867.png)
!["내년 분위기 심상치 않다"… 강북에서 먼저 나타난 전세 공급 절벽[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416262829608_1763969188.png)












![[산업의 맥]블랙웰 26만장, 그 숫자에 가려진 허와 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514025169556A.jpg)
![[시시비비]트럼프와 맘다니, 극과 극은 통했을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511185609157A.jpg)
![[THE VIEW]K컬처는 어떻게 경제가 되었나](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514100719758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