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KIOST 등 9개 기관 데이터 플랫폼 운영 활성화 업무협약
대한민국 데이터 생태계의 판을 뒤집을 '초대형' 연합체가 출범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원장 이희승, KIOST)은 한국교통연구원(원장 김영찬), 한국도로공사(사장 함진규),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최무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 한국문화정보원(원장 정운현),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 한국국토정보공사(사장 어명소),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조정희)과 함께 오는 26일 부산 해운대구 소재 부산도시공사 아르피나에서 '데이터 플랫폼 운영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업무협약은 각 기관이 보유한 표준화된 고품질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사업을 활성화하는 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협약에는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공동 행사 개최·운영, ▲정책과제 발굴·협력, ▲국가 데이터 정책 이행을 위한 정부·유관기관 협조 등 다양한 협력사항이 포함돼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2019년부터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센터 구축 사업을 지원해 왔으며, 2024년까지 총 21개 플랫폼(연안·금융·소방안전 등)을 조성했다.
이 가운데 교통, 산림, 농식품, 환경, 유통·소비 등 5개 분야는 2021년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최초의 빅데이터 플랫폼 연합체인 '빅스퀘어유니언(Big Square Union)'을 결성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이러한 협력 기반을 한 단계 확장해, 해양수산·문화 등 새로운 분야의 기관이 참여함으로써 국가 데이터 플랫폼 간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계기로 기존 '빅스퀘어유니언'은 한층 진화한 형태의 연합체인 '빅스퀘어유니언플러스(Big Square Union Plus)'로 재편·출범하게 된다.
참여 기관은 연안(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교통(한국교통연구원, 한국도로공사), 산림(한국임업진흥원), 농식품(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공간융합(한국국토정보공사), 부동산(한국부동산원), 문화(한국문화정보원), 해양수산(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이다.
업무협약식 이후 열릴 심포지엄에서는 ▲데이터·AI 공공협력 생태계 확산을 위한 빅스퀘어유니언 역할과 추진 방향(한국교통연구원 이숭봉 부연구위원) ▲탄소중립·혁신서비스 고수요 데이터 우수사례(에코아이 최재원 연구원) ▲연안빅데이터플랫폼 구축성과와 향후 성과 발전 방향(KIOST 이철용 해양빅데이터·AI센터장) ▲민관 협력 국민체감형 농식품 디지털 서비스 발굴 사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경화 빅데이터사업부장) 등 올해 주요 활동과 데이터 활용 우수사례를 공유한다.
KIOST는 해양빅데이터·AI 센터를 중심으로 '연안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운영하며, 총 452종의 기후변화와 연안환경 데이터를 공개하는 등 해양 정보의 개방과 공유에 앞장서고 있다.
또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육용 실감형 콘텐츠 '위기의 도시', 해양환경 보호 크라우드소싱 서비스 '바다가꿈의 날', 연안침식 시계열 시각화 서비스 '연안ON'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희승 KIOST 원장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데이터를 개방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해양과학 데이터를 국민들께 신속 정확하게 제공해, KIOST가 해양과학기술의 가치창출 플랫폼으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163만원 입금하자 돌아온 '역정'…믿고 시작한 부...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책의 맥]정책실험, 공허한 슬로건 안 되려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14385845227A.jpg)
![[기자수첩]잠들지 않는 시장보다 중요한 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10150274909A.jpg)
![[시시비비]AI 세대와 낡은 평가 방식의 충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708263103640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속보]이창용 "환율 레벨 걱정 안 한다, 해외투자 위험 관리 되고 있는지 우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09020526457_176368332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