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 중심 경영 한계 지적
"측정 가능해지면 행동 바뀌어"
기업 KPI, 가치 창출로 이동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사회적가치를 정량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 경영 기준과 자본주의 체계를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개막한 '도쿄포럼 2025' 기조연설에서 "기존의 재무 중심 자본주의로는 사회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환경 위기와 사회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다"면서 "기존 자본주의는 재무 성과에 집중해 사회적가치에 대한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또 "사회적 가치는 측정이 어려워 자원의 최적 배분이 이뤄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문제 해결도 지연됐다"며 "디지털 기술과 AI는 이러한 가치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유효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최 회장은 "사회적가치가 측정되고 평가되기 시작하면 기업의 행동 기준이 달라지고, 자원 배분 방식도 재무 성과 중심에서 가치 창출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며 "자본주의 구조 자체를 바꾸는 변화로, SK는 이미 계열사별로 일자리 창출, 납세, 환경 영향 등을 플러스·마이너스로 정량 평가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기업의 핵심성과지표(KPI)는 재무 성과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수준을 넘어 매년 확대하는 방향으로 설정될 것"이라며 "이 같은 변화가 경영 의사결정 체계에도 근본적인 전환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쿄포럼은 급격한 기술 발전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지속가능한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최종현학술원과 도쿄대가 2019년부터 공동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Rethinking Capitalism: Varieties, Contradictions, and Futures)'를 주제로 열렸다.
최 회장은 같은 날 열린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도 참석해 후지이 데루오 도쿄대 총장,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 대행, 이한주 뉴베리글로벌 회장 등과 함께 AI 기반 '협력적 자본주의(Collaborative Capitalism)'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행사에는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대표 겸 한국고등교육재단 대표, 마리안 베르트랑 시카고대 교수 등 학계 및 산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0억 준대도 망설여?"…올해는 유독 '주춤'한 희...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단독]서울시,'잠실 마이스' 컨트롤타워 만든다…'2.5조원' 민자사업 본궤도](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4540127219_1763704441.jpg)





![[남산길 산책]연극 공연의 '심미적 효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4223776409A.jpg)
![[영상2도]](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4022073164A.jpg)
![[시시비비] 챗GPT 먹통 사태의 정치적 교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1185550597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불장난 하지마" 中 엄포에 뜬금 '고양이 이모지'…SNS서 중일대전 시작됐다[日요일日문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016324025909_1763623960.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