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韓, AI 3강 되려면 전력 등 인프라 필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산업은행 '2025 넥스트 100 포럼'

한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려면 전력이나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에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업계 의견이 나왔다. 이들은 한국 기업들이 잘하는 분야에서 특화된 AI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미국·중국에 이은 AI 3강이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도 제언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19일 오후 한국산업은행이 주최한 '2025 넥스트 100 포럼'에서 "AI 발전을 위해서는 금융자본이 전력이나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에 투자해야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금융자본이 AI산업 내 밸류체인(가치사슬) 전체를 살펴보며 냉철하게 움직여야한다며 "AI를 개발할 때 '우리(한국)가 쓰기 위해 우리가 만들자'라고 생각한다면 100전 100패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 경쟁력을 고려해 AI를 개발해야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AI반도체와 인프라 투자가 선행돼야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시기 물류 인프라를 깔고, 김대중 전 대통령 시기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깔아 쿠팡·카카오·네이버 등이 성장할 수 있었다"며 전력과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에 더 큰 캐피탈(자본)이 들어가야한다고 강조했다.

19일 오후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2025 넥스트 100 포럼'에서 'AI G3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왼쪽부터),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이화영 LG AI연구원 상무가 토론을 하고 있다. 오규민 기자

19일 오후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2025 넥스트 100 포럼'에서 'AI G3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왼쪽부터),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이화영 LG AI연구원 상무가 토론을 하고 있다. 오규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 기업이 선도하고 있는 분야에서 AI기술을 특화해 세계 최고가 돼야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우리(업스테이지)가 추구하는 것은 1등이며 1등하는 회사들이 많이 모여야 AI 3강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사무AI 분야에 특화한 업스테이지를 소개하며 "한 분야에 들어가서 1등을 하게 된다면 상당히 큰 임팩트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을 클로드가 보여줬다"고 밝혔다. 그는 엔트로픽 창업 당시 오픈AI 출신 직원들에게 직접 전략이 무엇이냐고 질문하자 이들이 특화모델을 만들어 오픈AI와 경쟁하겠다고 한 일화를 소개했다. 그러면서 "소스코드 편집과 작성분야에선 클로드가 최강자"라며 "한 분야를 파고들어 기업간거래(B2B) 특정 영역에서 오픈AI 트래픽을 넘어섰다"고 덧붙였다.


이화영 LG AI연구원 상무도 "AI와 한국 기업들이 가진 도메인에서 특화를 통해 서로 융합하고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상무는 한국기업들이 각 산업분야에서 쌓은 노하우를 데이터로 쌓고 있고 이를 AI가 학습한다면 도메인 스페시픽(특수영역)에서 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