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장 증설 확정…최대 2조
ADC·비만치료제 중심 신약 개발
셀트리온 이 미국 공장 증설과 국내 신규 투자, ADC(항체-약물 접합체)·비만치료제 등을 중심으로 하는 '성장 청사진'을 공개했다. 바이오시밀러를 중심으로 성장해온 셀트리온이 신약과 거점 다양화 등으로 새로운 성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韓 송도·예산 등에 4조 투자…美 증설 등 1.4조 투자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19일 온라인 간담회에서 미국 뉴저지 브랜치버그 공장 인수를 연내 마무리하고 즉시 1·2차 증설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수비용 7000억원과 별도의 증설 투자 7000억원 등 총 1조4000억원을 투입해 5년에 걸쳐 최대 6만6000ℓ 규모까지 생산능력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미국 내 물량은 현지 공장에서, 글로벌 수출 물량은 국내 공장에서 생산하는 구조를 구축해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서 회장은 "미국 내 CMO(위탁개발·생산) 사업도 자동으로 시작되고 일라이 릴리와의 CMO 계약은 이미 미국 정부 승인까지 받은 상태"라며 "미국 공장을 확보함으로써 가격 인하 압박과 관세 리스크에서 벗어났다"고 말했다.
국내 투자 계획도 대폭 확대된다. 이미 송도에서 진행 중인 완제(DP) 공장에 더해 송도 DS 공장, 충남 예산 완제 공장, 충북 오창 PFS 공장 등 신규 생산설비에 총 4조원을 투입한다. 셀트리온은 이 국내외 생산설비 투자를 병행해 연간 공급능력을 크게 늘리고, 주요 품목의 글로벌 시장 대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공장 증설과 국내 공장 확충이 동시에 이뤄지면 2030년 이후 예상되는 블록버스터 바이오시밀러 출시 시점에도 공급 차질 없이 대응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셀트리온은 2038년까지 총 41종의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를 확보한다는 중장기 목표도 제시했다. 2030년까지는 키트루다·코센틱스·오크레부스·다잘렉스 등 7개 신제품을 추가 출시해 총 18종을 상업화할 계획이다. 자가면역·항암 영역에 집중됐던 기존 포트폴리오를 아토피·천식·혈우병 등으로 확장해, '바이오시밀러 제조사'를 넘어 글로벌 종합 바이오기업으로 입지를 다지겠다는 구상이다.
ADC·비만치료제 중심 신약개발 본격화
신약 개발의 핵심 축은 ADC·다중항체 플랫폼과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라이선스인 전략이다. 셀트리온은 2025년까지 4종의 ADC 및 다중항체 후보물질을 임상에 진입시키고, 2027년엔 임상단계 10종 이상을 포함한 총 20종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할 것으로 전망했다. 비만치료제는 셀트리온이 집중하는 또 하나의 차세대 먹거리다. 글로벌 시장을 장악한 GLP-1 기반 2·3중 작용제를 넘어 '4중 작용제' 비만 치료제 'CT-G32'를 개발 중이다. 기존 약물이 가진 개인별 효능 편차와 근손실 부작용을 줄이고 체중 감소율을 최대 2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로, 현재 동물 효능 평가가 진행 중이며 2026년 전임상 진입을 계획하고 있다.
실적은 4분기부터 본격적인 반등이 예상된다. 합병 관련 일회성 비용이 대부분 해소된 가운데 고수익 신규 제품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3분기 대비 매출은 최소 30% 이상 증가하고, 매출원가율은 35% 이하, 영업이익률은 40%대에 재진입할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유럽에서 새로 출시된 데노수맙·오말리주맙 바이오시밀러가 빠른 처방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연말에는 애플리버셉트 등 추가 신제품도 유럽 시장에 투입된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사업으로 안정적인 현금창출 기반을 확보하고, 이를 신약 개발 투자로 연계하는 구조를 고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서 회장은 "4분기부터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분할 이전 수준과 견줘도 뒤지지 않는 영업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며 "바이오시밀러에서 선두 자리를 지키는 동시에 신약·비만치료제·ADC 등에서 글로벌 톱티어로 도약하는 것이 다음 목표"라고 말했다.
서정진 "M&A 추진 1곳과 협의중…연내 결정될 수도"
간담회 질의응답에서 서 회장은 공장 투자, 자본 정책, M&A 전략 등 시장의 관심이 쏠린 쟁점들에 대해 구체적인 그림을 내놓았다. M&A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나왔다. 셀트리온홀딩스는 지난 7월 가치가 높은 국내외 기업과의 인수합병(M&A)을 포함한 사업구조 개편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서 회장은 "한 회사와 실질적인 M&A 협의를 진행 중이며, 여러 글로벌 플레이어와 경쟁하고 있다"며 "연내에는 누가 인수할지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 다만 대상 기업은 "경쟁이 진행 중인 사안이라 공개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지주회사 셀트리온홀딩스를 통해 국내외 혁신 기술 기업을 인수·투자하는 전략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펀드도 확대한다. 서 회장은 "현재 5000억원 규모로 운용 중인 협업 펀드를 2027년까지 1조원까지 키우겠다고 정부에 약속했다"며 "스타트업과 디지털·AI 바이오 기업에 함께 투자해 신약 후보를 발굴하고, 셀트리온이 직접 하지 않는 영역은 파트너십으로 보완하는 구조를 만들 것"이라며 "후배 창업자를 키우고, 우리 직원들이 갖지 못한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라는 평가도 덧붙였다.
송도 공장 가동률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이미 송도 공장만으로는 모자라 CMO(위탁생산) 업체를 쓰고 있는 상황이라 미국 공장은 외주 물량의 내재화에 가깝다"며 "2030년이 되면 송도에 최소 18만ℓ 규모 DS(원액) 공장을 새로 지어야 하고, CMO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대할 경우 36만ℓ까지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설비 투자와 관련해서는 송도 DS와 액상 완제, 예산 완제 공장, 오창 오토인젝터·주사제 공장 증설 등을 합해 "향후 3~5년간 국내 생산 시설 증설에만 약 4조원 수준의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DS 공장은 글로벌 CMO 사이트가 많지 않아 우선적으로 투자가 필요하다"며 "향후 6개월 안에 DS를 18만ℓ로 할지, 30만ℓ 이상으로 더 키울지 결론을 내리고 공시하겠다"고 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신안 장산도 해상서 267명 탄 제주발 목포행 여객...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자수첩]](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911222997587A.jpg)
![[아경의 창]정가로 문화를 즐길 권리를 지켜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908413901043A.jpg)
![[시시비비]시대착오적 유통법 일몰 연장](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911093956281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600·300' 기억하고 148만원 돌려받으세요… 헷갈리지 않는 연금저축·IRP[실전재테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914560423996_176353176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