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얼라이언스 '스타트업 트렌드리포트'
창업자·재직자 벤처생태계 전망도 온도 차
새 정부 벤처 정책 관련 현장 기대감 뚜렷
스타트업 재직자들의 근무 만족도가 대기업 재직자들의 절반 수준인 35%에 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가 '글로벌 벤처 4대 강국'을 외치며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현장에선 창업자와 재직자 간 체감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스타트업얼라이언스와 오픈서베이가 발표한 '스타트업 트렌드리포트 2025'에 따르면 스타트업 재직자의 근무 만족도는 전년 대비 6.5%포인트 떨어진 35%로 집계됐다. 2022년 49.2%, 2023년 42.0%에 이어 3년 연속 내림세다. 대기업 재직자의 근무 만족도(66.5%)와는 큰 격차를 보였다.
반면 창업자들의 체감 분위기는 회복 추세였다. 창업자들은 올해 스타트업 생태계 전반 분위기를 100점 만점에 54.5점으로 평가해 전년(50.5점)보다 개선됐다고 응답했다. 긍정 변화를 체감하는 이유로는 '정부 및 공공부문의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53.1%), '민간 지원사업 증가'(43.8%) 등이 꼽혔다.
새 정부 정책 방향성에 대해서도 온도 차가 나타났다. 창업자의 64.5%는 정책 기조가 생태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했지만, 재직자의 긍정 응답은 54.5%에 그쳤다.
시급한 정책 과제에서도 인식이 갈렸다. 두 집단 모두 '연구개발(R&D) 예산 확대'와 '인공지능(AI)·딥테크 등 혁신 분야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지만 창업자는 '모태펀드 예산 확대' 등 자금 지원을, 재직자는 '인재 양성·유출 방지 및 해외 인력 유치' 등 인력 확보를 더 중요한 과제로 제시했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는 18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스타트업 트렌드리포트 2025' 기자간담회를 열고 벤처생태계 변화 등에 대한 패널 토론을 진행했다. 왼쪽부터 이기대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 김치원 카카오벤처스 부대표, 황조은 힐링페이퍼 이사, 정인혜 알토스벤처스 팀장, 심재윤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정책과장.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원본보기 아이콘스타트업얼라이언스는 이날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스타트업 트렌드리포트 2025'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스타트업 생태계의 전반적인 환경 개선 및 발전적인 인력관리 방안 등을 논의했다. 황조은 힐링페이퍼 이사는 "변동이 큰 업계이지만 구성원의 불안감을 회사가 최소화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시장이 어려우면 인건비를 포함한 비용 관련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만, 유능한 인재를 잡기 위해선 회사가 더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인혜 알토스벤처스 팀장은 "채용 시장의 경우 주니어를 여전히 선호하는 분야와 그렇지 않은 분야로 점점 나뉘는 것 같다"며 "뷰티 같은 영역에선 교육으로는 배울 수 없는 젊은 사람들의 창의력과 재기발랄함을 선호하지만, 개발 등 기존 영역은 주니어 채용보다는 기존 인력을 재교육하는 방향으로 강화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도입 이후 생태계 변화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참석자들은 2022년 이후 금리가 인상 기조로 전환되고 챗GPT 등이 등장함에 따라 벤처 생태계가 큰 변곡점을 맞았다는 데 공감대를 보였다.
김치원 카카오벤처스 부대표는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는 스타트업이 최근 급증한 것도 단순히 내수 시장이 줄어들어서라고만 생각할 수는 없다"며 "AI라는 툴 자체가 언어와 상관없이 글로벌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굳이 국내에만 있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황 이사는 "강남언니의 경우 국내 사업을 잘해야 해외에서도 잘 할 수 있는 플랫폼이지만 여러 나라의 의료법을 살펴보면 국내의 규제가 가장 빡빡해서 아쉬운 생각이 들 때가 많다"며 "국내 플랫폼 성장을 위해서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규제가 유연하게 조정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매일 입에 닿는데 세균·곰팡이 '범벅'…변기보다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남산길 산책]연극 공연의 '심미적 효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4223776409A.jpg)
![[영상2도]](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4022073164A.jpg)
![[시시비비] 챗GPT 먹통 사태의 정치적 교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111185550597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