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폐플라스틱에서 기름뽑는다…도시유전, 세계 첫 저온 재생유 상용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우리기술과 합작 '웨이브정읍' 공장 준공
폐비닐 등 연소하지 않고 고품질 재생유 생산

폐플라스틱에서 기름뽑는다…도시유전, 세계 첫 저온 재생유 상용화
AD
원본보기 아이콘

도시유전은 18일 전북 정읍에 우리기술과 합작해 만든 '웨이브 정읍' 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 공장에서는 세계 최초로 폐플라스틱을 연소하지 않고 저온(300℃ 미만) 상태에서 촉매 분해해 플라스틱의 원료로 쓰이는 나프타 수준의 고품질 재생 원료를 생산하는 기술을 상용화했다.


이번에 준공된 공장설비는 농가에서 발생하는 영농 폐비닐을 비롯한 연간 6500톤의 폐플라스틱과 폐비닐을 처리해 최대 4550톤(약 540만 리터)의 플라스틱 재생원료유를 생산할 수 있다.

도시유전이 독자 개발에 성공한 이 공정은 세라믹 촉매와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300℃ 미만의 온도에서 폐기물을 태우지 않고 분해하는 친환경 기술이다.


300℃ 미만 온도의 열분해 과정에서는 다이옥신·퓨란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선별되지 않은 혼합폐기물(종량제 봉투 등)에서도 비닐·플라스틱만을 분리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저온 열분해 처리기술은 ▲국제적 지속가능성을 인증하는 ISCC PLUS,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PSM(공정안전관리제도),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KTL 품질검증 등 국내외 검·인증을 모두 획득했다.

도시유전 측은 "ISCC PLUS 인증을 통과한 것은 그동안 선진국 기술에 의존하던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 분야에서 대한민국이 기술 독립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유럽연합(EU), 미국, 베트남, 중동 등 전 세계의 글로벌 재생 원료 순환 경제 시장에 직접 설비나 재생 원료를 수출할 수 있는 자격과 시설을 확보하게 됐다. 도시유전은 이미 2024년 베트남 남안그룹과 연간 최대 150억원 규모로 수출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도시유전이 상용화한 저온 열분해 기술은 기존의 고온 열분해 방식이 가진 연소·배출·저순도 문제를 해결한 차세대 친환경 기술이다. 도시유전은 지난 30여년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가연성 폐기물의 저온 분해 승화 장치' 등 6건 이상의 특허와 세라믹 촉매볼의 파동에너지를 통해 탄소고리를 끊는 고분자 분해기술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정영훈 도시유전 대표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비연소 저온 분해 기술을 세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웨이브 정읍 플랜트'는 국가적 성취"라고 강조했다.


이날 준공식에서 도시유전은 영국 상장사인 사비엔테크놀로지그룹과 전략적 제휴 계약(PSA), 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CCU) 전문기업 로우카본과 '강진산단 폐플라스틱 유화 블루납사유 생산기지 구축' 합의각서(MOA)를 각각 체결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정영훈 도시유전 대표, 김정윤 도시유전 회장, 노갑선 우리기술 대표, 전대영 우리기술 부사장, 박정우 웨이브정읍 대표, 유동수, 박균택, 김용태, 송영길 전·현직 국회의원, 압둘모센 알자질 사우디 페드코 대표, 리차드 패리스 영국 사비엔 그룹 회장, 데릭 킴 트라피규라 코리아 이사, 케빈 유노 트라피규라 이사, 다니엘 한 사우디 SIRC 이사, 유미란 독일 BASF 아시아지부장 등 정관계, 산업계,학계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





강희종 에너지 스페셜리스트 mindl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