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수소 없인 NDC 없다"…정부·연구계 수소기술 논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5개 중점연구실·혁신 연합 중심 수소 R&D 방향 제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수소기술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제6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심포지엄'을 열고, 수소 전주기(생산-저장-활용) 기술혁신 전략을 공유했다.

제6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심포지엄 포스터. 과기정통부 제공

제6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심포지엄 포스터. 과기정통부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가 지난 11일 국무회의에서 확정한 2035 NDC는 2018년 대비 53~61% 감축이라는 목표를 제시하며 기존 2030 NDC(40%)보다 한층 강화된 수준이다. 전력·산업·수송 등 모든 부문에서 화석연료 중심 구조를 전환해야 하는 만큼, 재생에너지 기반의 '무탄소 연료'로 활용 가능한 수소의 역할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수소는 재생전력으로 수전해를 수행하면 온실가스 배출 없이 생산할 수 있고, 연료전지 발전·수소 환원제철·수소차·수소선박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올해 5개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지정하고 2029년까지 약 1190억 원을 투입해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과 고효율 수소생산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9월에는 기업·연구기관·대학 93개 기관이 참여하는 '청정수소 연구개발(R&D) 혁신 연합'을 꾸려 기술 개발과 산업 적용을 연계하는 체계도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산·학·연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해 ▲2035 NDC 관점에서의 수소 역할 ▲세계 각국의 수소 활용 전략 ▲수소 교역 확대로 인한 국제 통상 환경 변화 등을 논의했다. 이어 출연연과 혁신 연합 참여 기업들이 수전해, 연료전지, 수소저장합금 등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분야 간 기술 연계 및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방안을 집중적으로 검토했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2035 NDC 이행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정부는 수소기술이 기후테크 산업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