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임플란트 전문기업 시지메드텍은 올해 3분기 누적 연결 기준 매출액 357억3000만원, 영업이익 34억9000만원, 당기순이익 32억2000만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시지메드텍 창사 이래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별도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매출액 207억3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 영업이익 23억8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 당기순이익 또한 48억5000만원으로 흑자 전환을 기록했다.
이번 실적 개선은 모회사 시지바이오와의 전략적 협업이 주효했다. 시지바이오의 유통망과 시지메드텍의 제품력·생산력 시너지를 기반으로 국내 영업이 강화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18억 원의 매출 증가가 있었다. 특히 시지메드텍의 정형외과 임플란트 기술과 시지바이오의 재생의료 기술을 결합한 척추용 골이식재 '벨로(Velo)' 라인업의 3분기 누적 매출액이 14억원을 기록하며 빠르게 시장에 안착했다.
상반기 흡수합병한 자회사 지디에스(GDS)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반 제품을 통해 10억원의 매출을 추가하며 연결 실적에 기여했고, 지난 5월 인수한 올어버트먼트도 8억원의 실적을 확보하며 치과 임플란트 분야 포트폴리오 확장에 탄력을 더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법인의 경우 신규 거래처 확대와 제품 라인업 확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약 10억 원의 수출 증가를 달성했다. 특히, 시지메드텍은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자사 경추 케이지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해 의료진의 긍정적 평가를 받으며 신규 거래처를 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최근 척추 융합기기 '유니스페이스(UniSpace® TPLIF Cage)'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510(k) 승인을 획득하면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지바이오의 차세대 골대체재 '노보시스 퍼티(NOVOSIS PUTTY)'에 최적화된 구조로 개발돼 임상 연계 시너지도 기대되며 미국 FDA 승인 속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또한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Johnson & Johnson MedTech)와의 '노보시스 트라우마(NOVOSIS Trauma)' 독점 공급 계약을 기반으로 재생의료 기반 골절 치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현승 시지메드텍 대표는 "국내 척추·치과 임플란트 사업부터 골이식재 신제품, 해외 수출까지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시지바이오와의 협업 시너지,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 전략, 그리고 디지털 덴티스트리 등 신규 사업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더욱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수일 걸리던 게 한국에선 1시간이면 충분"…요즘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감히, 격 떨어지게" 샤넬 걸치던 콧대…'2000원 중국 옷'에 우르르 [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209251414093_1762907114.jpg)
!["촌스러워, 오히려 돈 펑펑 쓰더라"…지갑 대신 폰으로 다하는 Z세대 '이것' 기피[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032609010683666_1742947266.jpg)









![[시시비비]12월 그날의 상처, 치유받지 못한 1년](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713271277195A.jpg)
![[기자수첩]1조 'K팝 왕국'에는 집이 없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713501717879A.jpg)
![[디펜스칼럼]AI무기, 군의 결단이 필요할 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713292486888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