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강세장에도 개인 54.6% 마이너스
1인당 평균 931만원 손실
60대 이상은 1400만원 육박
최근 코스피 지수가 4200대를 돌파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손실을 본 투자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연합뉴스가 NH투자증권에 의뢰해 NH투자증권에 국내 주식 잔고를 보유한 고객 240만명1502명의 계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30일 기준 손실이 발생한 투자자는 131만2296명(54.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은 장중 코스피 지수가 처음으로 4100선을 돌파한 날이다. 이들의 손실 금액은 총 12조2154억원으로, 1인당 평균 931만원의 손실이 발생한 셈이다.
손실액을 금액별로 나눠보면 1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 손실이 발생한 투자자 수가 34만9084명(26.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 10만원 미만 31만1107명(23.7%) ▲ 300만원 이상~1000만원 이하 21만2944명(16.2%) ▲ 1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20만5765명(15.7%) 등의 순이었다.
그 외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이 13만9249명(10.6%)이었다. 5000만원 이상 손실을 기록 중인 투자자도 5만3405명(4.1%)에 달했다.
50대 10명 중 6명은 손해…미성년 손실률 가장 낮아
연령별로 보면 40대와 50대 중년층의 투자 성적이 좋지 못했다. 특히 50대는 60.1%(34만7285명)가 손실 상황으로 나타났으며 40대도 59.7%(32만158명)가 손실을 보고 있다. 40~50대 10명 중 6명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의미다.
가장 손실 발생 비율이 낮은 연령대는 미성년(33.9%, 3만3231명)이었다. 20대도 손실 비율이 44.3%(10만8737명)로 낮은 편이었다. 30대의 경우 손실 발생 비율은 절반 정도인 52.1%(25만8258명)였다.
손실금액 면에서는 60대 이상 투자자의 손실액이 평균 1369만원으로 가장 컸다. 50대는 평균 1257만원, 40대는 929만원, 30대는 479만원, 20대는 215만원, 미성년 153만원 등 연령대가 낮을수록 손실액이 적었다.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보유한 종목 중 가장 큰 손실을 가져온 종목은 포스코홀딩스였다. 손실투자자들의 전체 손실 금액 합계에서 해당 종목의 손실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손실금액 비중)을 계산해 나온 값으로, 포스코홀딩스의 손실금액 비중은 2.7%다.
이 외에 카카오(손실금액 비중 2.2%), 금양(1.7%), 에코프로비엠(1.7%), 에코프로(1.3%), 셀트리온(1.2%), SK바이오사이언스(1.0%), 신라젠(0.9%), 엔켐(0.9%) 등도 손실금액 비중이 높았다.
이들 종목 가운데 카카오를 보유한 고객이 15만4021명으로 가장 많았다. 계좌가 손실 상태인 고객 131만2296명 가운데 8.5%는 카카오를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다는 의미다.
카카오 주가는 2021년 16만원대까지 치솟았으나 현재는 6만원 선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카카오 주가가 급등했을 당시 매수한 투자자 상당수가 주가 하락 이후 회복을 기대하며 보유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손실 고객 중 7만751명은 포스코홀딩스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 주식을 보유한 고객은 각각 5만6605명, 5만595명으로 나타났다. 2023년 2차전지주가 급등했을 당시 대장주로 부각된 종목들이다.
반대로 수익이 발생한 고객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은 삼성전자(41만78명)였다. 삼성전자 주가는 올해 3월 중순까지만 해도 5만원대였으나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이달에는 11만원대까지 뛰었다. 연초(1월2일 종가 5만3400원)와 비교하면 2배 이상 상승한 셈이다.
수익이 발생한 투자자들의 계좌에서 삼성전자의 수익금 비중은 19.5%에 달했다. 삼성전자 우선주를 가진 수익 고객도 10만1488명이었다.
SK하이닉스도 수익금액 비중이 9.0%, 잔고 보유 고객 수가 9만2359명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업종의 상승세가 투자자들의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수익 고객 중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타이거(TIGER) 미국S&P 500' 보유자는 14만6718명이었다.
28.6%는 손실 확정…1인당 손실액 평균 613만원
올해 투자자 10명 중 3명은 주식을 매도해 손실을 확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1일부터 10월30일까지 NH투자증권에서 주식을 매도한 개인 고객 171만8328명 가운데 매도로 수익이 발생한 고객과 손실이 발생한 고객 비율은 각각 71.4%(122만7468명)와 28.6%(49만860명)였다. 손실 발생 고객의 총 손실액은 3조111억원으로, 1인당 평균 613만원 수준이다.
손실 규모별로 보면 1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이 14만6766명으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이 12만984명으로 뒤를 이었다. 10만원 미만 손실을 본 투자자는 11만6053명이었다.
전체 손실 투자자 가운데 38만3080명의 손실액이 500만원 미만으로, 추가 손해를 우려해 매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손실액이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인 투자자는 4만3641명, 3000만원 이상은 2만1535명이었다.
반대로 매도 후 수익이 발생한 고객의 총수익은 5조9304억원으로, 1인당 평균 483만원이었다. 금액별로는 10만원 이상~50만원 미만이 33만1551명으로 가장 많았고, 10만원 미만(30만1083명)도 30만명 선을 웃돌았다.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은 7만9868명, 3000만원 이상은 4만1662명이었다.
올해 실제로 주식을 팔아 수익 실현한 고객 중 3000만원 이상 수익을 낸 투자자 비중은 전체 수익을 낸 투자자의 3.4%에 불과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수억 원대 수익'을 올렸다는 인증글이 다수 게시되고 있지만 통계상 이같은 수익을 올린 투자자는 극히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스피 강세장 속 포모(Fear Of Missing Out, FOMO·소외공포)를 호소하는 이들이 늘지만, 억대 이익을 거둔 사람의 사례는 일부인 만큼 섣부른 투자는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성현정 NH투자증권 프리미어블루 도곡센터장은 "수익률이 마이너스라고 해도 각자의 매수 평균 가격은 다를 것"이라며 "주식 시장이 활황일 때는 망설이다가 뒤늦게 (가격이 올랐을 때) 들어와서 평균단가가 높은 이들이 생각보다 많다"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한편 올해 매도한 종목 중 수익금액이 가장 큰 종목은 삼성전자(수익금액 비중 10.0%)였다. 삼성전자를 매도한 고객 수도 40만4955명으로 다른 종목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두산에너빌리티(수익금액 비중 7.3%), SK하이닉스(5.8%), 한화오션(3.7%), 한화에어로스페이스(1.9%), 현대로템·삼성중공업(1.8%) 등의 순으로 수익금액 비중이 높았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500만원에 새 차 뽑았어요" 유행…망한 회사 車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트럼프에 찰싹 붙은 그녀…국민 82% "전폭적 지지"[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10262497085_1762392384.png)
















![[시시비비]정년연장 입법 대응한다는 재계, 청년만이 ‘카드’일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013251646787A.jpg)
![[기자수첩]K뮤지컬, 이젠 내실 다져야 할 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013213337112A.jpg)
![[시장의 맥]인구 위기 속 혁신을 위한 창조적 파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013585456295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귀농하면 8000만원은 번다더니…'1만원→9만원' 널 뛰는 상추 경매가에 손에 쥔 건 月 90만원[날씨는 죄가없다]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009542910849_1762736070.gif)
![[단독]팝송 '마이 웨이' 가사 남긴 채…'대북송금' 사건 수사팀장 김영일 차장검사 검찰 떠났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007045310357_1762725916.jpg)
![[단독]대만 반도체 전문가의 직언 "이건희 신경영 천재적이었지만 시대 변했다…삼성, 새 경영 철학 필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010025710869_176273657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