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서울 주택 사들이던 외지인…갭투자 막히자 거래 '뚝'[부동산AtoZ]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서울 주택 사들이던 외지인…갭투자 막히자 거래 '뚝'[부동산AtoZ]
AD
원본보기 아이콘

10·15 대책 시행 이후 서울에 집을 사는 외지인 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지정돼 '똘똘한 한 채'를 서울에 두려고 했던 비(非)서울 거주민의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벽에 부딪힌 결과로 분석된다.


6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에 집합건물(오피스텔·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 등) 사들인 외지인 수는 지난달 381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4862명과 비교할 때 21.6% 줄었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주요 지역이 토허구역으로 지정된 여파로 분석된다. 토허구역이 확대되면서 주택을 매수할 경우 전입 의무가 생겼고 갭투자는 막혔다. 서울에 집을 사서 전세를 주고 다른 지역에 거주하려던 이들이 집을 못 갖게 된 것이다. 기존 6·27 대책에서는 강남3구와 용산구만 토허구역으로 지정됐고, 앞으로 다른 지역까지 규제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조성되면서 외지인의 서울 갭투자가 성행했다.


서울 주택 사들이던 외지인…갭투자 막히자 거래 '뚝'[부동산AtoZ] 원본보기 아이콘

주택가격에 따라 담보대출 한도가 확 줄어든 것도 투자 심리를 꺾었다. 시가 15억원 이하 주택은 기존 6·27대책의 6억원 한도가 유지되지만 15억원 초과 25억원 이하는 4억원, 25억원 초과는 2억원으로 대출액이 줄었다.


외지인의 거래는 상급지에서 크게 줄었다. 여의도가 있는 영등포구는 53.1% 줄었다. 이어 송파구와 서초구, 한강벨트에 속한 마포구도 각각 45.1%, 42.7%, 34.4% 감소했다. 대표적 상급지인 강남구와 용산구도 22.4%, 22.6% 주택 매수 외국인 수가 쪼그라들었다.

다만 외지인의 상급지 투자 비중이 확 줄면서, 하급지의 외지인 거래 비중은 높게 나타났다. 비중이 가장 커진 곳은 동대문구(348명)로 9월에서 10월 한달 동안 63.4% 증가했다. 동대문구의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서울 평균인 103.41보다 낮은 101.49로 서울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지역이다.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주택 가격이 저렴한 도봉구와 관악구도 각각 22%, 9.9% 늘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갭투자를 막기 위해 10·15 대책 시행됐고 이후에는 실수요만 남게 돼 외지인 투자도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 주택 사들이던 외지인…갭투자 막히자 거래 '뚝'[부동산AtoZ] 원본보기 아이콘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