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우롱차 봉지서 마약 가루 발견
9월말 이후 제주에서만 5번째
제주 해안에서 '차(茶)' 봉지로 위장한 마약이 또다시 발견됐다. 지난 9월 이후 제주에서만 벌써 다섯 번째다.
5일 제주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4일 오후 4시40분쯤 제주시 조천읍 해안가 갯바위에서 낚시객이 마약으로 의심되는 물체를 발견해 신고했다. 신고자는 "바다에서 떠밀려온 중국산 차 봉지를 발견해 열어보니 하얀색 결정체가 들어 있어 마약으로 의심해 신고했다"고 진술했다.
해당 봉지는 최근 해경이 확보한 중국산 우롱차 포장지와 유사한 형태였으며 간이 시약검사 결과 '양성' 반응이 나왔다.
경찰은 약 1㎏가량의 케타민으로 추정하고 수사에 들어갔다. 이는 1회 투여량(0.03g) 기준으로 약 3만3000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마취제의 한 종류인 케타민은 다량 흡입 시 환각, 환란, 기억손상 증세를 불러일으켜 신종 마약으로 분류되고 있다.
앞서 지난달에도 경북 포항 임곡리와 제주시 애월읍 해변에서 각각 중국산 철관음(鐵觀音) 포장 형태로 위장된 케타민 1㎏이 발견됐으며 10월 말부터 이달 초까지 제주시 조천읍 해안가와 제주항에서도 같은 형태의 마약 봉지가 잇따라 발견됐다. 모두 한자로 '茶(차)'라고 적힌 포장지 안에 백색 결정체가 밀봉돼 있었다.
특히 지난 9월29일 서귀포시 성산읍 광치기 해변에서는 20㎏ 규모의 케타민이 발견됐다. 이는 66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지난 9월 말부터 현재까지 제주 해안에서만 5차례에 걸쳐 잇따라 마약이 발견되자 해경에 이어 육경도 마약 수사에 나선 상태다.
최재호 제주동부경찰서 형사과장은 "마약을 국내에 유통하려던 것인지 아니면 대만 등 다른 지역으로 운반하던 중 경비정을 만나 바다에 버린 마약이 해류를 따라 제주로 흘러들어왔는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주식도 부동산도 아냐…직장인 '83%'가 선택한 재...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비주얼뉴스]최장 셧다운에 다급해진 트럼프 '000카드' 외쳤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514274595884_1762320465.jpg)


![[비트코인 지금]금융위, 가상자산 시세조종 혐의자 고발 의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416333394350_1762241612.jpg)

![[시시비비]연체 지워주는 나라보다, 성실 기억하는 나라로](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514042901508A.jpg)
![[아경의 창]고기 먹고 튀어! 올해의 유쾌한 발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511054947329A.jpg)
![[기자수첩]골목상권을 죽이는 법](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510484242540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