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안성 아양 금성백조 예미지’, 선착순 동·호지정 계약 중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안성 아양지구의 마지막 분양 단지로 주목을 받은 '안성 아양 금성백조 예미지'가 선착순 동호지정 계약을 성황리에 진행 중이다.

안성 아양 금성백조 예미지 방문객

안성 아양 금성백조 예미지 방문객

AD
원본보기 아이콘

11월 1일 진행된 선착순 동호지정 계약 현장에는 이른 아침부터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활기를 띠었다. 현장에는 가족 단위의 실수요자와 인근 지역 투자자 등 다양한 연령층이 방문해 직접 동호수를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주거, 교육, 생활 인프라가 모두 갖춰진 입지여건과 더불어 비규제 지역의 자유로운 전매와 대출 조건, 그리고 실입주 중심의 합리적 분양가가 호응을 얻으며 많은 계약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안성 아양 금성백조 예미지'는 트리플 학세권(백성초·안성중·안성고 예정)과 이마트·하나로마트·CGV·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등 풍부한 생활 인프라, 아양2근린공원과 안성천 등 쾌적한 자연환경을 모두 갖춘 '완성형 주거지'로 평가받고 있다.


광역 교통망도 우수하다. 인근에 안성종합버스터미널이 위치하고 있으며, 세종포천고속도로 안성맞춤IC, 평택제천고속도로 남안성IC, 경부고속도로 안성IC를 통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주요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우수하다. 또, 중부권 광역급행철도, 수도권내륙선, 경강선 안성 연장, 평택~부발선 등 다수의 철도 노선이 추진 중으로 향후 교통 여건은 한층 더 개선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된 동신일반산업단지를 가깝게 두고 있으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와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도 차량 30분대 거리로 배후 수요 유입이 가능할 전망이다.

여기에 금성백조 예미지 브랜드만의 차별화된 설계와 단지 내 조경 특화 공간 등도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요소로 꼽힌다. 단지는 전 세대 남향 위주 배치에 4Bay 맞통풍 구조로 채광과 통풍이 우수하고, 수요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4룸(알파룸) 설계 및 팬트리와 현관창고 등 특화 수납 시스템(유상 옵션)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가족 구성원에 맞춰 침실 1·2를 통합형과 분리형 중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고, 바닥재·거실 마감재·주방 상판 등 각종 마감재 역시 Natural Classic(내츄럴 클래식)과 Bright Grace(브라이트 그레이스)의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해 입주민들의 삶의 품격까지 한층 더 향상시킬 전망이다.


지상에 주차공간이 없는 100% 공원형 설계를 적용해 아이들이 안심하고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갖췄으며, 단지 곳곳에 마련된 테마 정원과 포레스트 플라자는 집 밖을 나서지 않아도 공원 같은 휴식과 여유를 누릴 수 있도록 해준다. 자녀들의 안전한 통학을 위한 드롭오프존, 맘스스테이션도 마련될 예정이다.


단지 내에는 피트니스센터, GX룸, 골프연습장, 스크린골프 등 각종 운동시설은 물론, 어린이집, 돌봄센터, 작은도서관, 시니어존 등 다양한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도 마련할 예정이다.


분양 관계자는 "선착순 계약 첫날부터 많은 고객분들이 현장을 찾아주셔서 성황을 이뤘다"며, "비규제 지역의 장점과 뛰어난 입지, 검증된 예미지 브랜드의 상품 경쟁력이 맞물리며 수요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고 전했다.


'안성 아양 금성백조 예미지'의 견본주택은 경기도 안성시 옥산동 일원에 마련돼 있으며, 견본주택에서 선착순 동호지정 계약을 진행 중이다. 선착순 동·호지정 계약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홈페이지 안내문 및 대표번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진 기자 peng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