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콘퍼런스홀에서 열린 '2025 건전증시포럼'이 학계, 법조계, 금융투자업계, 관계기관 등 전문가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료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금융투자업계가 기존의 디지털 금융에서 AI 금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처음으로 연단에 오른 조성준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는 "AI 금융은 생산성과 신뢰성, 투명성을 강화할 수 있는 한편, 고객별 리스크 대응을 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기존에 영업점 중심으로 이뤄지던 금융투자를 홈트레이딩서비스(HTS)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으로 옮긴 디지털 금융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데이터에 기반한 자동화로 판단과 의사 결정 단계까지 진화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AI 금융으로 전환하기 위해 금융기관이 AI 비전 및 조직 구축, 내부 데이터 품질 강화 및 보안 확보, AI 융합형 인재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뒤이어 발제자로 나선 강형구 한양대 파이낸스경영학과 교수는 AI 기술이 자산운용과 거래 분야 전반에 미치는 영향, AI 기반 생태계 전환에 따른 자본시장 내 전략 변화 등을 설명했다.
이후 한국금융연구원의 연태훈 선임연구위원이 사회를 맡은 패널토론에서는 김시목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 김진숙 한국 딜로이트그룹 파트너, 노성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노현빈 신한투자증권 부장이 나와 AI 기술이 우리 자본시장에 가져올 변화와 이에 대한 관리·규제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김홍식 시장감시위원장은 "최근 코스피 최고치 경신 등 긍정적 시장 흐름 속에서도 기술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미래 자본시장으로의 도약을 준비해야 한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AI가 우리 자본시장에 가져올 성장 가능성을 모색하는 한편,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관리 방안도 점검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 남성들 '우르르' 몰려간다…월세까지 올랐다...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백종민의 쇼크웨이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5013292319_1762149693.jpg)
![[비트코인 지금]조각투자 거래소 인가전 3파전…STO 시장 개막 초읽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3090414295662390_1693805396.png)

![[시시비비] 보유세를 높인다고 강남 집값이 잡힐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08361815340A.jpg)
![[SCMP 칼럼]규범을 잃은 포퓰리즘 시대의 외교](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10290927144A.jpg)
![[기자수첩] 홈플러스, 회생만이 답은 아니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09103302024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