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여행 증가로 피내구더기증 확산 우려
"젖은 옷·침구는 열을 가해 다림질해야"
젖은 빨래 틈에 알을 낳은 파리 유충이 사람 피부 속으로 파고드는 이른바 '피내 구더기증(Myiasis)' 감염이 전 세계로 확산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위생 습관이 감염병의 첫 방어선이 될 수 있다"며 "옷과 침구류에 반드시 열을 가해 다림질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빨래 자료사진과 피내구더기증에 걸린 인도 남성의 모습(붉은 원). 게티이미지·American Journal of Medical Science and Innovation
미국 위스콘신대 매디슨캠퍼스 수의대 토니 골드버그 교수는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기고에서 "아프리카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룬드파리(Lund fly) 감염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연구의 시급성을 제기했다.
골드버그 교수는 우간다 키발레국립공원을 방문한 직후 겨드랑이 부위에서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과 이상한 움직임을 느꼈다. 조심스럽게 살을 들춰본 그는 그곳에서 룬드파리 유충 한 마리를 발견했다. 그는 "임신부의 뱃속에서 생명이 꿈틀대는 공포 영화 장면이 떠올랐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젖은 빨래'가 감염 매개체로
룬드파리 유충은 갈고리 모양의 입으로 숙주의 살을 파고들어 성장하며 통증·부종·염증·괴사 등을 일으킨다. 기저질환자나 다발 감염의 경우 패혈증으로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
감염 경로는 젖은 빨래로 추정된다. 룬드파리는 습하고 어두운 환경에 알을 낳는 습성이 있는데 건조 중인 젖은 옷이 이상적인 번식 장소가 된다는 것이다. 교수는 "파리 유충 감염을 막으려면 옷과 침구류에 반드시 열을 가해 다림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지인 중에는 베개를 다림질하지 않아 얼굴에 유충 50마리가 기생한 채 깨어난 사람도 있었다"고 말했다.
괴사·전신 감염 유발하는 '피내 구더기증'
'피내 구더기증(Myiasis)'은 파리 유충이 사람이나 동물의 살아있는 조직에 침입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이다. 주로 남미·아프리카·동남아시아 등 열대 지역에서 감염 사례가 많지만 여행 증가와 기후 변화로 최근에는 세계 각지에서 보고되고 있다. 유충은 모기 등에 알을 붙여두었다가 모기가 사람 피부에 닿을 때 모공이나 상처를 통해 침투한다. 피부 속에서 부화한 유충은 체내 조직을 먹으며 자라나고 심하면 조직 괴사나 전신 감염을 일으킨다.
피내 구더기증은 수술로 유충을 완전히 제거하면 대부분 완치된다. 유충 제거 후에는 2차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 치료가 병행된다. 응급 대처로는 병변 부위에 바셀린을 발라 유충의 호흡을 차단하면 스스로 기어 나오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여행 중 원인 모를 통증이나 구멍이 생겼다면 절대 짜거나 긁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해외여행 시에는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빨래는 반드시 다림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여행 증가로 확산 우려
골드버그 교수는 "전 세계적인 여행 증가와 기후 변화로 룬드파리 같은 기생파리의 서식지가 확대되고 있다"며 "이는 인간과 동물 모두의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기생파리 연구는 단순한 학문적 호기심이 아니라 다가오는 감염병 시대의 실질적 대비책"이라며 "젖은 빨래가 감염의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 남성들 '우르르' 몰려간다…월세까지 올랐다...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백종민의 쇼크웨이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5013292319_1762149693.jpg)
![[비트코인 지금]조각투자 거래소 인가전 3파전…STO 시장 개막 초읽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3090414295662390_1693805396.png)
![[시시비비] 보유세를 높인다고 강남 집값이 잡힐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08361815340A.jpg)
![[SCMP 칼럼]규범을 잃은 포퓰리즘 시대의 외교](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10290927144A.jpg)
![[기자수첩] 홈플러스, 회생만이 답은 아니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09103302024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