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SK 인공지능 서밋 개최
최태원, AI 인프라 투자 급증에 주목
"메모리 제때 공급, AI 확산 가른다"
SKT 정재헌 "AI 종합사업자로 거듭"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국내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콘퍼런스인 'SK AI 서밋'에서 "최근 오픈AI로부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필요한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월 90만장씩 공급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며 이 같은 요구가 나온 배경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AI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메모리 공급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잘 드러내는 사례를 소개한 것이다. 최 회장은 AI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적 대응과 안정적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AI 업계의 화두는 '폭발적 수요에 대비한 AI 인프라 투자 증가"라고 단언했다. 올해 SK AI 서밋은 'AI Now & Next(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한다)'를 주제로 열렸다.
최 회장은 글로벌 데이터센터 투자액은 지난 5년간 연평균 24%씩 성장하며 올해 6000억달러(약 800조원)에 이르렀다고 짚었다. 오픈AI·메타 등 여러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가 밝힌 신규 투자 규모는 이를 상회한다. 최 회장은 "AI 수요가 늘면서 인프라 투자도 함께 증가하고 있지만, 에너지·석유 등처럼 안정적인 수요 예측 모델이 없어 얼마나 성장할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했다.
특히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칩 성능은 매년 향상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메모리 공급 속도가 턱없이 모자라다"며 "성능이 아니라 공급에 병목이 나타나는 시대"라고 진단했다.
그는 AI 시대에서 SK그룹이 풀어갈 과제로 ▲차세대 AI 칩 성능을 뒷받침할 안정적인 메모리 공급 ▲미래 AI 인프라 구축 ▲AI 과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AI 활용 등을 꼽았다. 이를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이란 청사진을 그려 AI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최고경영자(CEO) 취임 후 첫 대외활동에 나선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AI 인프라 전략을 공개했다. 그는 "AI 데이터센터 사업에서 역할을 키워 설계·구축·운영 등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는 종합사업자로 도약하겠다"며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 인프라 진화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해 그룹사의 AI 전환(AX)을 돕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정 CEO는 "SK하이닉스를 비롯한 주요 제조사의 AX에 제조 AI 클라우드가 활용될 예정"이라며 "제조 현장의 디지털 트윈과 로봇 AI 등 제조 AI 기반 혁신을 촉진할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의 기조연설 중 샘 올트먼(Sam Altman) 오픈AI CEO와 앤디 제시(Andy Jassy) 아마존 CEO가 영상 메시지를 통해 SK와의 AI 데이터센터·컴퓨팅 협력 의지를 강조하기도 했다.
올트먼 CEO는 "훨씬 더 강력한 AI 모델을 지원하고 고도화된 지능을 모두 함께 활용하려면 방대한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며 "SK와의 파트너십은 단순한 비즈니스 이상이며, 오픈AI는 SK와 함께 한국 내 AI 데이터센터 설립 가능성을 탐색하며 'AI 주권'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시 CEO는 SK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울산 데이터센터 협업을 높이 평가하며 "반도체 성능 개선이 AI 인프라 개선의 필수"라며 "SK는 아마존의 AI 솔루션 확장 파트너"라고 보탰다.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흐물흐물해서 불편했는데 드디어 바꿨네…7년 만에...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무섭게 팔리네" 귀한 몸 됐다… 부동산 대책으로 수혜 받은 곳[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416271694334_1762241236.jpg)



!["연봉 2배 준다니 안 갈 수가 없네"…이공계 인재 해외유출 막을 해법은[BOK포커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3042592061_1762142665.jpg)







![[초동시각]'듣는 기업'만이 살아남는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414091127058A.jpg)
![[기자수첩]저신용자 이자, 맞춤형 평가해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413393413659A.jpg)
![[산업의 맥]APEC이 남긴 숙제, AI시대 살아남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410332117118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