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공식 석상서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 공개
수도권·울산 이어 서남권에 AI DC 구축
SK이노와 베트남 AI DC 진출…동남아 확장
엔비디아 GPU 2000여장 도입…제조 AI 클라우드 활용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 건설과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라우드 구축으로 AI 인프라의 기반을 다져왔습니다. 앞으로는 이 같은 역량을 바탕으로 AI 인프라의 본격적인 확장을 추진하겠습니다."
SK텔레콤의 새 수장이 된 정재헌 최고경영자(CEO·사장)가 그룹사가 총출동한 인공지능(AI) 포럼에서 AI 인프라를 전면에 내세우고 나섰다. AI를 통신 서비스에 적용하는 걸 넘어 국내외 AI 데이터센터(AI DC) 구축을 포함한 AI 인프라를 새 먹거리로 삼겠다는 취지다. 취임 일주일도 안 돼 첫 공식 석상에 나선 정 CEO는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정 CEO는 3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된 'SK AI 서밋 2025(SK AI SUMMIT 2025)'에서 키노트 연설을 통해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 AI 인프라 진화를 이끌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CEO는 이날 키노트 연설을 통해 SKT의 AI DC 관련 성과를 소개하고 동남아 시장 진출 계획을 공개했다. 그는 ▲울산 AI DC 대규모 확장 검토 ▲에너지 특화 AI DC 솔루션 글로벌 진출 ▲AI DC 종합 사업자 도약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을 통한 '에지 AI' 추진 등을 골자로 하는 'AI 인프라의 나우&넥스트' 전략을 발표했다.
국내부터 동남아까지…AI 인프라 확장 총력전
우선 정 CEO는 국내 AI DC 인프라 확장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SKT는 수도권과 경남에 이어 서남권에 세 번째 AI DC 거점을 추진하고 있다. 정 CEO는 "울산 AI DC 공개 이후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SKT의 AI DC 개발 역량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며 "대한민국이 아시아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SKT는 기존 아마존웹서비스(AWS)를 포함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늘려 울산 AI DC를 총 1기가와트(GW)급 이상 규모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지난달에는 SK그룹이 오픈AI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서남권 지역에 AI DC 설립 추진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SKT는 서남권 AI DC의 구체적인 위치를 추후 공개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 등 계열사들과 손잡고 동남아시아 AI DC 시장 진출에도 나선다. 정 CEO는 "에너지 특화 AI DC 솔루션을 앞세워 SK그룹 관계사들과 함께 동남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이날 공개했다. SK이노베이션과 함께 추진하는 베트남 AI DC 사업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통한 전력 확보에 더해 냉열 에너지를 데이터센터 냉각에 활용한다. SKT는 동남아 시장의 AI DC 사업을 향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AI DC 구축을 위한 솔루션도 새 먹거리로 삼는다. 정 CEO는 "AI DC 사업에서 기존의 역할을 확대해 설계와 구축, 운영 등 AI DC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는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T는 AI 인프라의 핵심 기술 영역을 모은 AI DC 솔루션 패키지를 제품화하는데, 여기에는 서버 연결과 전력, 냉각, 보안 등 AI DC 운영에 필요한 솔루션들이 포함된다.
정 CEO는 "AI 인프라는 기업과 국가 경쟁력의 핵심 동력"이라며 "SKT는 대한민국 대표 AI 사업자로서 정부와 함께 AI G3 도약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 GPU로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SK 그룹 AX 중심축 역할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31일 경북 경주시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에 참석해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만나 AI슈퍼컴퓨터 'DGX스파크'를 선물하고 있다. 2025.10.31 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SKT는 엔비디아로부터 그래픽처리장치(GPU) 'RTX PRO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2000여장을 도입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를 통해 SK 그룹 주요 계열사의 AI 전환(AX)에 나선다.
정 CEO는 "SK하이닉스를 비롯한 SK그룹 주요 제조사의 AI 전환에 제조 AI 클라우드가 활용될 예정"이라며 "제조 현장의 디지털 트윈과 로봇 AI 등 제조 AI 기반 혁신을 촉진할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를 디지털 공간에 쌍둥이처럼 복제해 분석·예측하는 기술을 뜻한다.
SKT의 네트워크 인프라 역량을 AI DC 운영에 활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정 CEO는 "AI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통신사가 수십 년간 확보해온 네트워크 인프라가 재조명받고 있다"면서 "전국에 연결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AI DC와 온디바이스 AI 사이의 간극을 메꿀 수 있는 '에지 AI'와 AI가 적용된 지능형 통신망 기술 'AI-RAN'은 통신사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에지 AI는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보내지 않고 기지국과 에지 서버에서 처리해 지연을 낮추고 보안을 강화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SKT는 에지 AI 구현을 위해 AWS와 연구·개발(R&D) 협력 기반을 구축했는데, SKT가 가진 AI 인프라 기술력에 AWS가 보유한 클라우드·AI 기술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한편, 정 CEO는 이달 1일부터 SKT 신임 CEO 임기를 시작했다. 전임 유영상 대표는 SK수펙스추구협의회 AI위원회 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4년 만에 수장 자리에서 내려왔다. 정 CEO는 이날 연설에서 인사말을 통해 "오늘부터 CEO로서의 업무가 시작됐다. 키노트 세션에서의 스피치가 내 첫 업무"라면서 "AI 혁신을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에서 첫인사를 드리게 돼 기쁘고 영광"이라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주식도 부동산도 아냐…직장인 '83%'가 선택한 재...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비주얼뉴스]최장 셧다운에 다급해진 트럼프 '000카드' 외쳤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514274595884_1762320465.jpg)


![[비트코인 지금]금융위, 가상자산 시세조종 혐의자 고발 의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416333394350_1762241612.jpg)

![[시시비비]연체 지워주는 나라보다, 성실 기억하는 나라로](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514042901508A.jpg)
![[아경의 창]고기 먹고 튀어! 올해의 유쾌한 발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511054947329A.jpg)
![[기자수첩]골목상권을 죽이는 법](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510484242540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