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지역 관광객 수 전년 대비 20% 급증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일부 유럽 지역에서 발생한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 현상이 아시아로까지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버투어리즘은 관광객들 때문에 주민들의 삶의 질이 악화하고, 관광 명소들이 훼손되는 현상이다.
1일 CNN 보도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PATA)는 올해 상반기 기준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관광객 수가 전년 대비 20%나 급증했다고 밝혔다. 동남아시아도 마찬가지다. 올해 상반기 베트남을 찾은 외국 관광객 수는 21% 증가했다.
아시아에서 오버투어리즘의 폐해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는 곳은 지난해 5600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한 일본의 교토다. 각 명승지는 넘쳐나는 인파 탓에 여유 있는 관광이 불가능하고, 골목길까지 인파가 몰리면서 주민들은 출퇴근과 통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요미우리신문의 설문에 따르면 교토 시민 90%가 오버투어리즘에 불만을 표시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신사나 사찰 등 종교시설에서 무례한 행동을 하는 데 대해 불만이 집중됐다. 이에 따라 교토시는 지난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기온 지역에서 무단 촬영을 금지했다. 또한 교토는 호텔과 여관 투숙자에게 부과하는 숙박세 상한액을 기존 1000엔(약 9300원)에서 1만엔(약 9만3000원)으로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발리도 마찬가지다. 발리의 사원에서 옷을 벗고 사진을 찍거나 헬멧 없이 오토바이를 타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무례한 행동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다.
태국은 외국 관광객이 약 6% 감소했지만 푸껫 같은 유명 관광지는 여전히 인파로 가득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최근 푸껫 당국은 교통 체증과 불 부족 등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하루 한 잔만 마셔도 혈당·혈압 싹 잡는다"…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눈이 휘둥그레, 딴 세상이 펼쳐진다"…'보석' 같은 공간들 [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0155489387_1761873354.jpg)



![[단독]2년 지나 만드는 '오송 백서'…국정조사·정부대응 다 담긴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4011717052533311_1705478726.jpg)




![[대만칩통신]TSMC 타이중 신공장 2나노→1.4나노 확정…첨단 공정 구축 박차](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013093187884_1761797371.jpg)
![[과학을읽다]탄소세에 쏠리는 관심, 누가 기후의 값을 치르는가](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010458283A.jpg)
![[기자수첩]공수처, 존재 이유를 증명하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070988175A.jpg)
![[초동시각]F학점 받은 국정감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152133882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