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스페인, 멕시코에 500년전 만행 사죄…"원주민 고통 인정"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경색된 양국 관계, 6년 만에 '전환점'

스페인 정부가 500년 전 자국의 아메리카 대륙 정복 당시 원주민들이 '고통과 불의'를 겪었음을 인정하고 멕시코 정부에 유감을 표명했다.


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호세 마누엘 알바레스 스페인 외무장관이 자국 수도 마드리드에서 열린 행사 개막연설에서 멕시코 원주민에 대한 사과를 전했다.

스페인 국기. 픽사베이

스페인 국기. 픽사베이

AD
원본보기 아이콘

그는 멕시코 원주민 여성들을 주제로 한 전시회 개막식에서 연설하면서 "양국(스페인과 멕시코)의 공유된 역사에는 빛과 그림자가 공존했고, 원주민들에게 고통과 불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늘날 이를 인정하고 유감스럽게 생각하는 것이 바르다"라며 "왜냐하면 이 역시 우리가 공유한 역사의 일부이며, 우리는 이를 부인할 수도 없고 잊을 수도 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멕시코, 2019년 스페인 국왕에게 사과 요구

멕시코는 알바레스 장관의 발언을 사과의 첫걸음으로 보고 있다. 2019년 3월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당시 멕시코 대통령은 펠리페 6세 스페인 국왕과 프란치스코 당시 교황 앞으로 서한을 보내 식민 지배 및 정복 과정에서의 학살과 억압에 대한 사과를 요구한 바 있다. 당시 스페인 정부는 "500년 전의 일을 현대적 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다"며 사과를 거부했고, 양국의 공동 역사를 분노 없이, 그리고 공유된 시각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어 2024년 9월에도 새롭게 선출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스페인 국왕을 자신의 취임식에 초대하지 않기로 하면서 식민지 과거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이 결정에 대해 스페인 정부는 "두 나라는 형제 국가"라며 "이 같은 배제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사죄 발언은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과거사에 대한 스페인 측의 사과를 재차 요구한 지 나흘 만에 나왔다. 그는 "우리는 (전임자인)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이 (6년 반 전에) 보냈던 서한과 의견이 같다"며 "여전히 스페인의 답장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알바레스 장관의 발언이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나아간 것이라며 환영했다. 그는 "사죄야말로 정부와 국민을 고귀하게 만든다"며 "이는 굴욕이 아니다. 정반대다. 특히 원주민 여성의 해인 올해에 스페인 정부의 외무장관에게 축하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1519년 스페인의 정복자 에르난 코르테스는 수백 명의 기병대를 이끌고 당시 아스테카 제국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을 침략했다. 그 결과 2년 후 아스테카 제국은 멸망했고 스페인은 그곳에 식민지 '누에바 에스파냐(신 스페인)'를 건설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