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유아차 런' 올해 두 번째 개최
"유아차런 자체가 저출생 극복 메시지"
오세훈 서울시장이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된 '서울 유아차 런'에 참석해 시민들과 함께 유아차를 끌고 걸으며 응원 메시지를 전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1일 오전 8시30분 서울 유아차 런이 개최돼 5000가족, 총 2만3000여명이 참석했다. 지난 5월 처음 개최된 이후 시민의 높은 호응에 따라 이번 가을 두 번째 행사를 개최하게 됐다.
이번 행사는 참여 규모를 5배 늘렸고 유아차를 탄 자녀는 물론 유아차를 졸업한 초등학생 이하 아동이 있는 가족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5000가족 모집 신청이 하루 만에 마감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코스도 첫 회 광화문광장~서울광장 5㎞에서 광화문광장~여의도공원 7㎞로 늘렸다. 참가자들은 본인의 속도에 따라 토끼반(유아차 달리기), 거북이반(유아차 걷기), 졸업반(유아차 없는 초등생 이하 걷기)으로 나눠 안전하게 참여했다.
이날 유아차 런은 러닝전도사 안정은 씨를 비롯해 시의 저출생 정책 홍보모델 '서울베이비앰버서더'로 활동 중인 원더걸스 우혜림 씨 가족,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 출연자인 펜싱선수 김준호 씨, 가수이자 배우인 김윤지 씨 가족도 함께했다. 안 씨는 "오늘 기록보다 중요한 것이 아이들과 함께 쌓는 추억"이라며 "오늘 걷는 길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트랙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오 시장은 "지난 봄 행사 때 비가 내려 날 좋은 가을에 다시 한번 꼭 유아차 런을 하겠다고 약속드렸는데 지킬 수 있게 돼 행복하게 기쁘다"며 "화목하고 행복한 가족들이 걷고 뛰는 모습을 광화문 광장 한가운데서 볼 수 있는 자체가 저출생 극복의 가장 강력한 메시지"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형 키즈카페, 긴급보육돌봄을 통해 양육자의 육아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 초등학교 안심벨 보급, '덜달달 프로젝트' 등 다양한 정책을 충실하게 추진해 더 편하고 안전한 보육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연봉 2배 준다니 안 갈 수가 없네"…이공계 인재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넉달만에 1.3억 올랐어요"…틈새시장으로 뜨는 서울 오피스텔[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6192492514_1762154364.jpg)


!["연봉 2배 준다니 안 갈 수가 없네"…이공계 인재 해외유출 막을 해법은[BOK포커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3042592061_1762142665.jpg)
!["눈이 휘둥그레, 딴 세상이 펼쳐진다"…'보석' 같은 공간들 [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0155489387_1761873354.jpg)





![증시 세법 이슈, 배당소득세 다음은 상속증여세?[Why&Next]](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0543891852_1762134877.jpg)

![[과학을읽다]탄소세에 쏠리는 관심, 누가 기후의 값을 치르는가](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010458283A.jpg)
![[기자수첩]공수처, 존재 이유를 증명하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070988175A.jpg)
![[초동시각]F학점 받은 국정감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311152133882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