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킴 카다시안 "달착륙은 가짜" 방송…NASA "6번이나 갔다" 반박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 언급
NASA 국장 직접 나서 연락

미 항공우주국(NASA)이 '달착륙 음모론'에 빠진 인플루언서 킴 카다시안에게 직접 연락해 "달에 여섯 번이나 갔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NASA 임시 국장을 겸하고 있는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실제로 달에 여섯 번이나 갔다"는 메시지를 카다시안에게 보냈다. 더피 장관은 해당 메시지에서 "미국은 다시 달에 돌아갈 준비가 됐다"고 강조했다.

킴 카다시안. AP연합뉴스

킴 카다시안. 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카다시안은 이날 공개된 리얼리티 프로그램 '더 카다시안스'에서 "나는 우리가 달에 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착륙이 가짜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가 제시한 의문점들은 ▲달에는 대기가 없어야 하는데 왜 깃발이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는가? ▲달 착륙 장면 사진에 왜 별이 보이지 않는가 등이다. 또 해당 프로그램에서 카다시안은 아폴로 11호를 타고 두 번째로 달에 착륙한 우주인 버즈 올드린에게 '임무 중 가장 무서운 순간'을 묻는 인터뷰 기사를 언급한 뒤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무서운 순간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난 음모론을 좋아한다"고 농담조로 덧붙였다. 카다시안은 자신이 한 주장의 근거로 틱톡 등 온라인 자료를 들었다.

아폴로 11호를 탄 닐 암스트롱과 올드린이 실제로 달에 착륙하지 않았다는 음모론은 수십년간 계속되고 있는 음모론 중 하나다. 더피 장관이 카다시안에게 직접 연락한 것은 인플루언서로서 대중에 미치는 영향력 때문으로 보인다. 리얼리티쇼 스타로 이름을 알린 카다시안은 힙합계의 거물 카니예 웨스트(예·YE)와 결혼 및 이혼으로도 유명하다.


한편 NASA는 현재 달 착륙 계획 '아르테미스'를 추진하고 있다. 아르테미스는 내년 초 우주비행사를 태운 탐사선으로 달 궤도를 비행하고 돌아오는 2단계 임무에 이어 2028년 달 착륙이 목표다. 더피 장관은 카다시안을 아르테미스 발사에 초청했다. 그는 "미국은 다시 달로 돌아갈 준비가 돼 있다"면서 "우리는 지난 우주 경쟁에서도 이겼고, 이번에도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