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경주APEC]젠슨 황, 최태원 만나 "완벽한 AI 협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국, 기술과 SW·제조 역량 모두 갖춰"
"인프라 구축 등 AI 생태계 빠르게 확대"
AI 팩토리, 로봇, 자율주행 등 협력 증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과 회동한 뒤 "SK는 인공지능(AI) 슈퍼 컴퓨터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준 중요한 파트너"라며 "우리의 완벽한 협력은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성장시켰고, 나아가 엔비디아가 한국을 돕게 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고부가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가장 많이 공급하는 회사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AD
원본보기 아이콘

젠슨 황 CEO는 31일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 화랑홀에서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특별연설 세션을 마친 뒤 최태원 회장과 회동했다. 황 CEO는 이번 방한을 계기로 우리 정부와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자동차·네이버 등과 대규모 AI 협력 계획을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한국에 총 26만장에 달하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투입하기로 했다. 최대 14조원 규모다. 전 세계적으로 물량이 부족한 GPU를 한국이 우선 확보하는 동시에 엔비디아의 'AI 생태계'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로써 한국의 '소버린(주권형) AI' 구축이 빨라질 거란 기대가 나온다.


그는 '한국과의 파트너십이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묻는 말에 "세계는 지금 AI 혁명 시대에 들어섰다"며 "한국과의 즉각적인 협력은 우리에게 큰 영광이며, 우리는 협력을 통해 많은 일을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AI 기술로 공장은 물론, 지역 생태계와 스타트업 등을 지원하는 공장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양한 산업을 위해 AI 생태계를 발전시켜야 하며 그 핵심에 한국과의 협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저녁 서울 삼성동의 한 치킨집에서 '치맥' 회동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용준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저녁 서울 삼성동의 한 치킨집에서 '치맥' 회동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용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황 CEO는 한국에 대한 애정을 거듭 드러냈다. 그는 "한국은 훌륭한 기술과 우수한 소프트웨어 역량, 제조 능력 등을 모두 갖추고 있다"며 "이 모든 것이 가능한 나라는 세계적으로도 드물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AI 팩토리와 로봇·자율주행 등을 위한 협력 계획도 발표했다"며 "이는 곧 한국이 AI 산업과 로보틱스 등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기회"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프라이드 치킨은 놀라울 정도로 맛있다"며 분위기를 거듭 끌어올리기도 했다.


전날 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함께 모인 이른바 'AI 깐부' 모임에 최 회장이 불참했지만, 황 CEO는 "어제는 나의 친구가 너무 바빴다는 걸 이해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CEO 서밋 의장으로서 경주를 지켜야 해 서울 모임에 참석할 수 없었다. 황 CEO는 최 회장이 선물한 HBM 웨이퍼를 받고 "웨이퍼가 너무 비싸고 너무 무겁다"며 농담하기도 했다.





경주=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