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젠슨 황 "삼성전자·SK하이닉스, 한쪽만 선택할 필요 없다…둘 다 최고"[경주APEC]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는 그래픽처리장치 제조를 위한 파트너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세계 최고의 기업이라고 치켜세웠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파트너십을 계속 확대해 나가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황 CEO는 "집중하는 전략에도 장점이 있고 다양성에도 장점이 있는데, 엔비디아는 두 회사와 모두 협력하고 있기 때문에 선택할 필요가 없다"며 "엔비디아가 성장하려면 한국의 모든 기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APEC CEO 서밋 마친 뒤 기자간담회
글로벌 미디어 앞 "삼성·SK 세계 최고"
내년 루빈 출시 재확인…HBM4 전환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조를 위한 파트너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세계 최고의 기업이라고 치켜세웠다. 그는 "우리는 두 회사와 모두 성공적으로 협력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만) 선택할 필요가 없다"며 "모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젠슨 황 CEO는 31일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들"이라며 "모두 뛰어난 기술 역량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 곳은 상당히 특화돼 있고, 다른 곳은 그보다 더 다양하다"고 짚었다. 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에 강점을 보이는 SK하이닉스, 후자는 삼성전자로 풀이된다.

젠슨 황 엔디비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기 전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장희준 기자

젠슨 황 엔디비아 최고경영자(CEO)가 31일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기 전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장희준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파트너십을 계속 확대해 나가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황 CEO는 "집중하는 전략에도 장점이 있고 다양성에도 장점이 있는데, 엔비디아는 두 회사와 모두 협력하고 있기 때문에 선택할 필요가 없다"며 "엔비디아가 성장하려면 한국의 모든 기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신형 인공지능(AI) 가속기 '루빈'의 양산 계획을 재확인하며 한국 기업들의 협력을 당부했다. 황 CEO는 "내년 하반기 예정대로 루빈을 출시할 것"이라며 "실리콘이 확보돼 있고 시스템도 잘 갖춰져 있다. 생산 준비를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했다. 현재 HBM 시장의 주류는 5세대 HBM3E 제품이지만, 엔비디아가 내년부터 루빈에 HBM4를 탑재하면서 대세가 바뀔 것으로 보인다.


황 CEO는 "내년 사업 규모는 수천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며 "내년의 엔비디아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그들이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고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주=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