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中·캐나다, 8년만에 공식 정상회담…트럼프 압박 속 "관계회복"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방위적인 관세 압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동안 관계가 냉랭했던 중국과 캐나다가 8년 만에 공식 정상회담을 갖고 관계 회복 의지를 밝혔다. 이번 공식 정상회담은 쥐스탱 트뤼도 총리 시절인 2017년 이후 처음이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AFP·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31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만나 "최근 양측의 공동 노력으로 중국·캐나다 관계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중국은 양국 관계를 올바른 궤도로 돌려놓기 위해 캐나다와 협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카니 총리에 중국을 방문해달라고 초청했고, 카니 총리는 이를 수락하면서 "건설적이고 실용적인 대화를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앞서 카니 총리는 지난 27일 "중국은 우리의 두 번째로 큰 교역 동반자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라면서 대중 관계에서의 실용적 접근을 강조하기도 했다.


양국 관계는 미중 간 1차 무역전쟁 당시인 2018년 캐나다가 미국의 요청으로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의 멍완저우 부회장 체포하고, 중국이 이에 대한 보복으로 캐나다인 2명을 간첩 혐의로 구금하면서 얼어붙은 바 있다.


중국이 중국계 캐나다인 정치인을 사찰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2023년에는 양국이 상대 외교관들을 맞추방하면서 갈등이 격화했다.

중국이 2021년 캐나다 총선에 개입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된 상황에서 캐나다는 지난해 8월 중국산 전기차에 100%,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은 지난 3월 카놀라유 등 캐나다산 농축산물에 25~100%의 맞불 관세를 매겼다.


시 주석은 2022년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당시 트뤼도 총리와 나눈 대화가 언론에 공개된 사실을 거론하며 불쾌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캐나다가 경제적 이익을 지키기 위해 중국에 손을 내밀었지만 통상 문제의 복잡성 때문에 결과가 쉽게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은 전기차에 부과된 관세 인하를 원하는데, 캐나다 입장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감수하면서 농민의 이익을 지킬 것인지 딜레마가 생긴다. 또 미국과 계속 협상해야 하는 상황에서 캐나다가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고 중국과 큰 거래를 도출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