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백악관을 경주로 옮겨왔다"…트럼프 힐튼호텔에 임시 상황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힐튼호텔 8층 전면 통제
미국 비밀경호국 보안 작전 전개
철수 후엔 '흔적 지우기' 완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북 경주에 머무는 동안 묵었던 힐튼호텔에 백악관 상황실이 임시로 설치됐던 사실이 확인됐다고 31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미국 대통령의 해외 체류 중에도 국가 안보 관련 보고와 회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29일 경북 경주시 보문관광단지 내 위치한 힐튼호텔 옥상에 저격수가 배치돼 있다. 연합뉴스

29일 경북 경주시 보문관광단지 내 위치한 힐튼호텔 옥상에 저격수가 배치돼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연합뉴스는 호텔 현장과 복수의 관계자들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숙소로 쓰였던 힐튼호텔 8층은 전날 밤늦게까지 미국 비밀경호국(USSS)에 의해 완전히 봉쇄됐다가 이날 오전 통제가 해제됐다고 했다.


해당 층 복도 끝 방 두 곳 중 한 곳은 '프레지덴셜 로열 스위트(PRS)'로, 문 앞에는 'WHSR(White House Situation Room)'이라 적힌 종이 명패가 붙어 있었다. 이는 백악관 내 국가안보 통제시설을 의미하는 약칭으로, 미국 대통령이 외국에 체류할 때 사용하는 고보안 통신시설(SCIF)이 이곳에 임시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철수 후 현재는 'WHSR OFFICE'라고 적힌 표지만 남았고, 객실 내부에는 집기나 가구가 전혀 없는 상태였다. 바닥 카펫에는 삼각대나 장비가 놓였던 자국만 여러 군데 남아 있었다.


호텔 관계자는 "백악관 측의 요구가 매우 세세했고, 사전에 여러 차례 시설 점검이 진행됐다"며 "짐 운반도 모두 가림막을 설치한 채로 이뤄져 외부에서는 내용을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보안 관련 요청은 공개할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머문 곳은 상황실이 차려졌던 PRS 객실의 반대편에 위치한 특별실이었다. 이 공간은 평소 일반 고객에게는 판매되지 않으며, 호텔 관리자 사무실로 사용돼 왔다. 미국 측이 APEC 행사 전 사전 답사를 통해 이 방을 직접 선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전용 리무진 '더비스트'를 타고 인근 헬기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전용 리무진 '더비스트'를 타고 인근 헬기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호텔 측은 "미국 측이 프레지덴셜 스위트보다 사무실 공간을 선호했다"며 "내부의 집무용 가구를 모두 치우고 숙소로 개조했다"고 설명했다. 객실 규모는 PRS의 절반가량으로 비교적 작았지만, 외부 출입이 통제돼 보안상 장점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두 객실 모두 원상복구가 완료돼 내부에는 어떠한 흔적도 남아 있지 않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머물 당시 읽은 것으로 추정되는 영자 신문 몇 부만 남아 있었으며, 나머지 물품은 모두 철수한 상태다.


호텔 관계자들은 미국 경호팀이 철수한 이후에도 함구령을 내려, 대통령의 숙박 관련 세부 내용이나 요구 사항을 외부에 밝히지 못하도록 지침을 받았다고 전했다.


현재 힐튼호텔에는 일부 미국 정부 인사가 여전히 체류 중이며, 비밀경호국은 철수했지만 한국 경찰의 경비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