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두산,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전략 동맹…건설기계·로봇 기술 키운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건설기계·발전기기·로봇 등 전 사업군에 도입
엔비디아 인프라 기반으로 맞춤형 모델 구축
스탠포드대 협력 이어 글로벌 생태계 협업 확대

두산 이 인공지능(AI) 시대를 대표하는 기업 엔비디아(NVIDIA)와 손잡고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 강화에 나선다. 건설기계, 발전기기, 로봇 등 핵심 사업 영역의 지능화를 본격 추진하면서 AI 기반 제조혁신을 가속할 계획이다.


두산은 31일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앞으로 두산의 사업 데이터를 엔비디아의 피지컬 AI 기술에 학습시켜 두산에 최적화된 맞춤형 기초모델(FM·Foundation Model)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 중구 두산타워. 강진형 기자

서울 중구 두산타워. 강진형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기초모델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된 AI 신경망을 뜻한다. 텍스트 번역에서 로보틱스까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오픈AI의 지피티(GPT)나 엔비디아의 코스모스(Cosmos)가 대표적이다.

두산은 건설기계와 발전기기, 산업용 로봇 등 각 분야에서 쌓아온 운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회사는 이런 데이터를 AI 모델에 학습시켜 현장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업별로 특화된 피지컬 AI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겠다는 구상이다.


양사는 ▲엔비디아의 피지컬 AI 모델·시뮬레이션 기술 및 AI 인프라 활용 ▲AI 신기술에 대한 우선 접근권 및 기술 지원 ▲정기 연구진 교류 등 포괄적 협력 방안을 추진한다. 또 향후 국내 시장에서 엔비디아 AI 플랫폼의 확산을 위한 공동 협력에도 나선다.


두산 관계자는 "엔비디아는 AI 생태계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라며 "양사 협력을 통해 피지컬 AI 부문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은 올해 지주 부문에 피지컬 AI 혁신 조직인 'AI 전환 센터(AX Center)'를 신설하고, 스탠포드대 인간중심 AI 연구소(HAI)와 산학협력을 체결하는 등 관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9월에는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엔비디아, 아마존, 스탠포드대 등과 협력을 논의하기도 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