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28조 전년비 8.2%↑
쏘렌토 등 SUV 판매 확대
"친환경차 수요 맞춰 성장 가속화"
기아 는 3분기 영업이익이 1조46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2% 감소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미국 관세 영향과 주요 시장 경쟁 확대로 인한 인센티브가 증가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한 28조6861억원을 달성했으며 당기순이익은 1조4225억원을 기록했다.
기아는 "글로벌 하이브리드 수요의 지속적 증가와 전기차 판매 확대 등으로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 및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 및 글로벌 인센티브 증가, 기말환율 급등에 따른 충당부채의 평가손 등으로 손익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기아는 3분기 78만5137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2.8% 신장했다. 국내에서 전년 대비 10.2% 증가한 13만8009대, 해외에서 1.4% 증가한 64만7128대를 기록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쏘렌토, 카니발을 중심으로 한 고수익 레저용차량(RV) 차종 판매 증가와 EV4 신차효과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를 보였다. 해외의 경우 미국을 중심으로 북미 권역의 수요 증가세가 이어졌으며, 아시아태평양, 중남미 등 신흥 시장에 판매 물량을 확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서유럽 시장에서는 EV3의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슬로바키아 공장의 전동화 전환에 따른 일부 모델 단산 및 한시적 생산 조정으로 판매가 감소했고, 인도 시장에서는 9월 말 시행된 상품서비스세 인하를 앞두고 발생한 대기수요에 따라 판매가 줄었다.
매출원가율은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4.3%포인트 상승한 81.1%를, 판매관리비율은 판매보증비 및 연구개발(R&D) 비용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5%포인트 상승한 13.8%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5.1%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판매는 미국과 서유럽 시장에서 각각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수요 강세를 기반으로 전년 대비 32.3% 증가한 20만4000대를 기록했다. 전체 판매 중 친환경차 판매 비중도 전년 대비 5.4%포인트 상승한 26.4%를 달성했다. 하이브리드가 11만8000대(40.9%),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1만7000대(-2.6%), 전기차 7만대(30.0%)를 기록했다.
기아는 친환경차 수요 확장 트렌드에 맞춰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 전기차 신차 사이클을 통한 성장 가속화를 추진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RV 중심의 견조한 하이브리드 판매 확대를 지속 추진하고, EV5와 PV5 등 신차의 모멘텀을 활용해 친환경차 비중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미국에서는 시장 수요와 규제 변화에 대응해 유연한 생산체제를 적극 활용하고 하이브리드 산업수요 강세에 발맞춰 인기 모델의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유럽에서는 EV4, EV5, PV5 등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하며, 인도에서는 시로스의 신차 모멘텀 지속과 셀토스 완전변경 모델을 선보이고 신규 딜러를 지속 확대해 판매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강화할 계획이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이러다가 영영 사라지는 거 아냐?" 자취 감추는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단독]'밤샘' 대신 '칼퇴'로 바뀐 국감…국감 시간 지난해보다 10% 짧아져](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708075298478_1762470472.jpg)



![[백종민의 딥테크]과학자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711080415391A.jpg)
![[초동시각]실패한 종부세, 이제는 손봐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715131360678A.jpg)
![[기자수첩]소자본 창업 사장님, 로또 당첨 바란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710234017908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