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로컬 축제·관광 연구회’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경북 구미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구미 그린 로컬 축제·관광 연구회'(대표의원 김영태)는 지 난 30일 구미시의회 3층 간담회장에서 '로컬푸드를 활용한 축제 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최종보고회는 김영태 대표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인 김영길·박세채·이명희·이정희 의원과 관련 부서 및 시의회 공무원, 연구용역 수행기관 등 30여명이 참석하여 연구 용역 최종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적용 방안을 함께 논의했다.
구미시의회 의원연구단체 '구미 그린로컬 축제·관광 연구회'(대표의원 김영태)는 지 난30일 구미시의회 3층 간담회장에서 「로컬푸드를 활용한 축제 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단체촬영/김이환 기자
이번 연구는 지난 7월 발대식을 시작으로 약 4개월간 진행됐으며 연구용역을 통해 ▲구미시 대표 농축산물(쌀·메론·감자·밀·콩 등) 분석 ▲기존 '구미라면축제'와 '푸드페스티벌' 연계 발전 방향 ▲'구미로컬푸드 페스타(GUMI Local Food Festa)' 등 신규 콘텐츠 제안 ▲지역 농가·식당·쉐프 협업을 통한 시그니처 메뉴 개발 ▲체류형·관람객 참여형·농가 참여형 등 축제 활성화 방안 및 마케팅 전략 등을 도출했다.
특히 뉴질랜드 웰링턴 미식 축제(Visa Wellington On a Plate)를 벤치마킹한 단계별 로컬푸드 축제 모델을 제시하며, '9味(구미) 주먹밥', '팝업 레스토랑', '야간형 체류 콘텐츠(9味夜슐랭)' 등의 실행 가능한 아이디어가 눈길을 끌었다.
이를 토대로 이번 연구에서는 구미시의 기존 축제를 보완하고, 농가·상인·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지속가능한 6차 산업형 축제 정책의 방향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영태 대표의원은 "본 연구는 구미의 로컬푸드를 지역 대표축제와 연계하되, 단순히 먹거리 중심의 축제가 아니라 함께 즐기고 체험하는 콘텐츠를 확장해 지역 관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시작되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구미의 대표 농산물인 우리밀·감자·콩·메론 등을 판매 중심에서 벗어나 가공과 체험을 결합한 새로운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했다.
구미 그린로컬 축제·관광 연구회는 이번 보고회를 끝으로 2025년도 연구활동을 마무리하며, 도출된 제안과 성과를 향후 구미시의 축제 기획과 관련 조례 등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영남취재본부 김이환 기자 klh042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전동킥보드' 쏙 빼고 '넘어져 다쳤다'…274만원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눈이 휘둥그레, 딴 세상이 펼쳐진다"…'보석' 같은 공간들 [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0155489387_1761873354.jpg)


!["병원 한 번 가면 100만원은 그냥 깨져요"…목돈 대비 나선 반려인들의 선택[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214265191008_1762061211.jpg)
!["공공임대 살면서 돈이나 모으고 싶다"… '내 집' 보다 '살 집' 택한 2030 청년들[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3595789792_1761886796.jpg)









![[영상2도]'중간계' 실패가 보여준 AI 영상 갈 길](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3482956348A.jpg)
![[기자수첩]'코스피 5000' 발목 잡는 공시규정](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11092674279A.jpg)
![[법조스토리]사법부 공격으로 변질된 사법개혁](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08304620423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