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엔비디아, 韓에 25만개 이상 GPU 공급…삼성·SK·현대·네이버 등 AI 개발 박차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와 협력해 25만개 이상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주요 기업들에게 공급한다.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네이버 등 기업들은 엔비디아와 협력해 각 최대 5만개의 GPU를 도입할 계획이며 이를 인공지능(AI) 모델 훈련 및 데이터센터 개발 등에 적용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30일 온라인 사전 브리핑을 통해 "우리는 한국 정부와 대기업인 삼성, SK그룹, 현대차, 네이버 클라우드와 주요 협력을 발표할 것"이라며 "한국은 25만개 이상의 GPU를 활용해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AI 개발과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면서 핵심 산업, 자동차·제조·반도체·통신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협력의 핵심은 한국의 AI 인프라를 확장하는 것이다. 한국은 총 25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를 도입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한국의 기술 및 제조 분야 리더십은 한국을 AI 산업 혁명의 핵심에 위치시키며, 가속 컴퓨팅 인프라는 전력망 및 광대역 통신만큼이나 중요해지고 있다"며 "한국의 물리적 공장들이 정교한 선박, 자동차, 칩 및 전자 제품으로 세계에 영감을 주었듯, 이제 국가는 글로벌 변화를 이끌 새로운 수출품으로서 '지능(Intelligence)'을 생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AI, 반도체, 디지털 전환 로드맵을 가속화하기 위해 5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를 도입해 'AI 팩토리(공장)'을 구축한다. SK그룹도 5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를 통해 AI 팩토리를 설계하고, 피지컬 AI와 로봇 기술 개발을 위해 RTX 6000 블랙웰 서버를 활용해 '산업용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5만개의 엔비디아 블랙웰 GPU를 활용해 제조와 자율 주행을 위한 통합 AI 모델을 훈련하고, 검증·생산 과정에 적용한다. 또 네이버 클라우드도 6만개 이상의 GPU를 활용해 AI 인프라를 확장할 계획이다.


엔비디아는 네이버 클라우드, LG AI연구원, SK텔레콤, 엔씨에이아이(NC AI), 업스테이지 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와도 협업한다. 또 과기부는 한국형 AI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 GPU 5만개를 도입할 계획이며 네이버 클라우드, 카카오가 함께 1만3000개의 엔비디아 블랙웰 등 GPU를 공급한다. LG는 엔비디아와 함께 '피지컬 AI' 기술 협력에 나선다.


아울러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와 양자 컴퓨팅 기술 연구를 위해 '우수 연구 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이밖에도 삼성, SK텔레콤, K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LG유플러스, 연세대 등과 협력해 지능형 저전력 AI-RAN(차세대 통신망 기술) 네트워크 기술도 개발 중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K-POP 광장에서 열린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포웅하고 있다. 2025.10.30 조용준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K-POP 광장에서 열린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포웅하고 있다. 2025.10.30 조용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이밖에도 엔비디아는 '엔비디아 인셉션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스타트업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운영하는 '스타트업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에도 협력한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가 단순한 혁신을 넘어 미래 산업의 기반이 된 지금, 대한민국은 변혁의 문턱에 서 있다"며 "엔비디아와 함께 국가 AI 인프라를 확장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한국의 제조 역량을 포함한 강점을 더욱 강화할 투자"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3대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대한민국의 번영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